美 정부·업계 광고규제 공방
입력 2011-07-10 18:57
“미국 식품·광고업계 연합군과 연방정부가 식품 광고 가이드라인을 놓고 전쟁을 벌이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어린이 건강 보호와 산업 육성이라는 두 명분이 충돌하는 전쟁터의 모습을 10일 이같이 묘사했다.
전쟁은 5월 연방거래위원회(FTC)를 중심으로 식품의약국(FDA), 질병통제예방센터(CDCP) 등이 함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식품 광고, 마케팅 활동을 정비하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따라 어린이와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TV광고와 귀여운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시리얼 등을 먹는 장면 같은 간접광고가 모두 규제된다. 정부는 식품 광고가 판단 능력이 부족한 어린이들에게 잘못된 식습관을 심어주고 있어, 아이들의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제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식품·광고업계는 ‘합리적인 식품 정책 연합’을 구성, 전방위 로비를 펼치며 가이드라인 분쇄에 나섰다. 켈로그와 제너럴 밀스, 펩시 등 식품업체는 물론 타임워너, 비아콤 등 미디어 관련 업체들도 반정부 투쟁 대열에 가세했다. 이들은 로비스트를 의회 주변에 집중 배치했다. WP는 일부 업체가 최근에만 660만 달러의 로비자금을 썼다고 보도했다. 또 경제학자의 통계를 인용, 가이드라인이 시작되면 약 7만5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는데 이는 정부의 일자리 부양 정책에 위배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 식품·음료업계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 비용으로 매년 20억 달러(약 2조1000억원)씩 쓰고 있다. 정부는 가이드라인 발표 뒤 일반인을 상대로 의견 청취 작업을 진행했으며 조만간 최종 결론을 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김도훈 기자 kinch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