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국조특위 與의원들, 캄보디아에 집중하는 까닭은
입력 2011-07-10 18:31
국회 저축은행비리국정조사특위 소속 한나라당 의원들이 부산저축은행그룹 등이 투자한 캄보디아 캄코시티(Camko City) 사업 과정의 비리 의혹을 캐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 사업에 노무현 정권 인사들이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터라, 여당이 저축은행 국정조사를 전 정권 인사들이 개입된 ‘캄보디아 게이트’로 몰고 가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국정조사특위 한나라당 핵심 관계자는 10일 “부산저축은행그룹의 캄보디아 및 전남 신안군 개발사업 투자 관련 조사에 당력을 집중할 계획”이라며 “증인 요청도 두 사안을 중심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저축은행그룹은 2005∼2007년 현지 특수목적법인(SPC)에 대출하는 방식으로 캄보디아 캄코시티 개발사업에 5000억원 가까이 투자했으며, 현재 대부분 사업이 중단돼 3000억원 가량의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국조특위 한나라당 관계자는 “전·현직 캄보디아 대사와 외교부 직원, 전직 청와대 비서관뿐만 아니라 캄보디아 외환거래에 관련된 은행권 인사 등을 증인으로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검찰, 국세청, 금감원, 금감위 등의 기관보고를 받고 한국은행과 수출입은행 등에 있는 근거 자료를 문서 검증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나라당은 국정조사 일정과 관계없이 특위 소속 의원과 보좌관들을 캄보디아 현지에 파견해 한인회와 영사 등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도 벌일 계획이다.
현재 한나라당이 주목하는 부분은 크게 두 가지로 알려졌다. 우선 전 정권 핵심 인사의 개입 여부다. 국조특위 소속 한 의원은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캄보디아 방문 후 캄보디아 투자들이 속속 이뤄졌고, 특히 2007년에는 청와대 특보라고 칭하는 사람들과 대통령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캄보디아를 대거 방문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부산저축은행 2대 주주인 박형선(구속)씨와 당시 청와대 비서관이 함께 캄보디아를 다녀왔다는 제보 등도 확인 중이다.
또 다른 주목거리는 사라진 투자금 3000억원의 행방이다. 정치권에선 비자금설과 함께 캄보디아에 부산저축은행그룹의 자금이 투입됐던 2007년에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렸다는 점 때문에 이 돈이 정상회담의 대가로 쓰인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 이른바 ‘제2 대북송금설’이다. 특위 소속 의원들은 “모든 가능성을 두고 현지조사를 벌일 계획이지만 캄보디아 정부와 불편해질 수 있다”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아울러 한나라당은 부산저축은행이 2007년 캄보디아에 세운 캄코뱅크의 주주로 참여한 현대페인트의 대주주가 김대중 정권 말기 권력형 비리 의혹으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최규선씨라는 점에서 그가 저축은행 비리와 연관성이 있는지 보고 있다.
이 같은 한나라당의 움직임에 민주당도 박근혜 전 대표의 동생 박지만씨의 증인 채택을 추진하는 등 맞불작전에 나섰다. 박씨는 삼화저축은행 명예회장인 신삼길(구속)씨와 친분이 깊어 ‘로비 창구’ 역할을 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민주당은 또 삼화저축은행 고문변호사를 지낸 박씨의 부인 서향희 변호사와 작년 저축은행 감사 당시 감사원장을 지낸 김황식 국무총리도 증인으로 불러내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여권은 “정부와 청와대 고위인사를 불러내려는 건 정치적 흠집내기용”이라고 맞서고 있다.
한장희 김원철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