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된 평창, 성공의 길-2. 흑자 올림픽을 만들어라] 나가노·밴쿠버 ‘반면교사’ 시설 활용 방안 찾아라
입력 2011-07-08 21:55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가 확정되면서 경제 효과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60조원 안팎의 경제효과를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올림픽 이후 적자에 빠진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에 과잉투자를 경계하고 경제 효과를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경제 효과 64조9000억원”=7일 현대경제연구원의 ‘평창 동계올림픽 경제적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평창 올림픽을 통한 직간접적 경제 효과가 64조9000억원에 이른다.
보고서는 올림픽 관련 투자와 소비 지출에 따른 직접적인 효과가 21조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경기장, 교통망, 숙박 시설 등 올림픽 개최를 위한 총 투자 금액 규모는 7조2555억원이고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16조4000억원으로 추정했다. 내·외국인 관광객의 소비 지출 및 대회 경비 지출로 인한 경제효과는 4조7000억원으로 예상된다. 특히 올림픽과 관련한 외국인 관광객은 평년보다 약 39만명이 더 방문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간접적인 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올림픽 이후 10년 동안 43조8000억원의 경제 효과를 거둘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적 겨울 관광지로 부상한 데 따른 추가 관광으로 32조2000억원, 국가 이미지 제고로 11조6000억원의 경제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재 우리나라 외국인 관광객 수는 연간 1000만명 수준이다. 하지만 올림픽 이후 약 10%인 100만명 정도가 추가로 방문할 경우 10년간 외국인 관광객의 지출액은 18조4960억원,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32조2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국가 이미지 제고가 기업 이미지 제고로 이어지는 동반상승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과잉투자 경계해야”=반면 올림픽을 치른 뒤 적자에 빠진 나라도 적지 않다. 98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일본 나가노는 아직까지 적자 재정에 시달리고 있고, 2010년 동계올림픽을 연 캐나다 밴쿠버는 지금까지 10억 달러 이상의 적자를 기록하며 재정난에 빠졌다.
원주~강릉 복선전철 건설사업에만 3조3370억원이 들어갈 예정이다. 경기 광주~강원 원주를 연결하는 제2영동고속도로 건설에도 1조1577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갈 전망이다. 여기에 여주~원주 간 수도권전철 연장이 이뤄질 경우 조 단위의 재정 투입이 필요하다.
또한 평창과 강릉에 건설될 13개의 경기장에도 막대한 재정이 소요된다. 7개는 완공된 상태이나 6개는 새로 지어야 한다. 이미 알펜시아 리조트 한 곳을 짓는 데에만 1조4000억원이 들어갔다. 여기에다 인구 20만명의 강릉에 5개의 빙상장을 지어야 하는 등 막대한 재정 투입과 경기 후 관리비 부담이 우려되고 있다.
게다가 실사단 요구에 따라 IOC 임원들이 묵을 대규모 호텔과 선수단 숙소를 비롯해 대형병원, 레저시설 등 대형 건설 사업들이 줄지어 기다리고 있다.
흑자 올림픽으로 마무리 지으려면 경기장 등 부대시설의 사후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철저하게 마련하지 못하면 ‘승자의 저주’에 빠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경제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과잉투자를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동훈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동계스포츠는 선진국형 스포츠이기 때문에 앞으로 생활스포츠로 육성해야 꾸준한 경제유발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