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中, 발해만 원유유출 사고 진상 밝혀라
입력 2011-07-06 17:41
중국 국가해양국이 5일 발표한 발해만 원유유출 사고 조사 결과가 미덥지 않다. 오염 범위가 서울 면적(605㎢)의 1.4배인 840㎢에 이름에도 유출량을 밝히지 않았다. 이전까지 유출량 10t, 오염면적 100㎢ 이하에 적용되는 3급 긴급상황이라고 말해온 국가해양국은 이날 “정확한 유출량은 추가 분석을 해봐야 알 수 있다”고 얼버무렸다. 사고 발생 후 한 달이 지났는데도 당국이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지 못할 정도라면 원유 유출량이 발표하기 곤란할 정도로 큰 규모일 수도 있다.
사고 원인도 밝히지 않았다. 6월 4일 원유유출 사고가 일어났지만 시추 회사가 국가해양국에 보고한 것은 17일이었다. 중국 국민들은 6월말쯤 트위터와 인터넷을 통해 알게 됐다. 중국 정부가 사고를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이 생기는 게 당연하다.
자국민에 대한 은폐와 축소 발표도 문제지만 발해만과 이어진 서해 바다를 사이에 둔 우리나라에 대해서도 입을 다물고 있었다는 것은 어이없다. 우리나라는 2007년 태안 원유유출 사고 때 즉각 중국에 통보했었다. 정부가 이달 초 우리나라 해역에 미칠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사실 확인을 요청하자 중국 당국은 “공식 발표 때 보면 알 것”이라며 거부했다고 한다.
사고가 일어난 발해만은 중국 최대의 해상유전이다. 면적 3200㎢로 중국산 원유의 57%, 천연가스의 12%를 생산하고 있다. 발해만 주변에 4000만명 이상이 생활하고 있으며 수산양식이 대규모로 이뤄지고 있다. 그중 상당량은 우리나라에 수출되고 있다. 발해만은 입구가 좁아 자정능력이 약하다. 어패류 등의 피해가 심각할 수 있다. 당장 우리 식탁이 불안하게 됐다. 중국산 수산물 검역을 특별히 강화할 필요가 있다.
중국이 유정 수리와 유출원유 회수 등 사고처리를 마쳤다고 하나 이 역시 믿기 어렵다.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는 한 유출 사고는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 쉬쉬하면서 축소하려 하다가는 지난해 멕시코만 해상유전 원유유출 사고처럼 지구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음을 중국은 유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