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죽인 檢 ‘유구무언’… 조직위한 사퇴여론에 곤혹
입력 2011-07-05 21:29
김준규 검찰총장의 사퇴 이후 검찰은 유구무언이다. ‘조직을 위한 사퇴’라며 싸늘하게 여론이 돌아선 마당에 묵묵히 엎드려 있을 수밖에 없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박용석 대검찰청 차장은 5일 총장 직무대행으로서 간부회의를 주재했다. 병가 중인 홍만표 대검 기획조정부장을 제외한 참모 전원이 참석했다. 박 차장은 “차질 없이 업무를 수행하라”는 주문을 했다. 참석자들은 말없이 듣기만 했다고 한다. 김 총장 사퇴와 후속 대책 등 현안은 언급되지 않았다. 한 참석자는 “주재만 총장 대신 차장이 했을 뿐 특별할 게 없는 일상적 회의였다”고 말했다.
사표를 내거나 사의를 밝혔던 대검 검사장급 간부와 협상팀 과장들은 자리를 지킬 것으로 보인다. 아직 법무부에 공식 접수된 사직서도 없다. 대검 한 관계자는 “간부들의 사표는 총장을 압박하려는 성격이 강했다”며 “총장이 고육지책을 내놨으니 나머지 참모의 자진 사퇴는 없을 것을 본다”고 말했다.
검찰 내부통신망에도 김 총장 사퇴에 관한 글은 한 건도 올라오지 않았다. 검·경 수사권 조정 합의안이 검찰에 불리하게 수정되자 수뇌부 책임론까지 거론하며 들끓었던 며칠 전 상황과 비교하면 냉담할 정도로 무반응이다. 지방의 한 검사는 “조직 보위를 최우선으로 하는 검찰 성격상 김 총장은 이미 과거의 사람”이라며 “오히려 다음 총장이 누가 될지가 관심사”라고 전했다.
대검 중수부가 맡고 있는 부산저축은행 수사가 언제, 어느 수준까지 지속될지도 관심이다. 김 총장은 중수부 수사기능 폐지 논란이 거셀 때 “상륙작전 중인 해병대 사령부를 해체할 수 없다”며 배수진을 쳤는데, 지금은 그 사령관이 자진 사퇴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수사팀 관계자는 “총장 사퇴에 영향을 받아서도 안 되고 받지도 않는다. 우리는 계속 간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날 부산저축은행이 특수목적법인을 통해 추진한 인천 효성지구 도시개발 사업 관련, 인허가 로비 명목으로 저축은행 측으로부터 억대의 금품을 받은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로 브로커 김모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지호일 이용상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