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홍준표 체제로] 총선체제 전환·계파간 조율 ‘첩첩산중’
입력 2011-07-04 22:08
7·4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한나라당 새 지도부의 임기는 4·27 재·보궐선거 패배로 물러난 직전 지도부의 잔여임기인 내년 7월 13일까지다. 이 기간 최대 현안은 내년 4월 예정된 총선이다. 홍준표 새 대표의 최대 과제 역시 위기감에 휩싸인 당을 추슬러 총선 총력 체제로 전환해야 하는 일이다. 특히 총선 직후 대선이 치러진다는 점에서 박근혜 전 대표를 포함한 차기 유력 대권 주자들과 어떤 관계를 설정할지가 홍 대표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와 불협화음을 내고, 특히 내년 총선에서 대중적 지지가 높은 박 전 대표의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될 경우 여당 전체가 위기에 빠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홍 대표는 4일 당선 직후 기자회견에서 “한나라당 유력 대선 주자들을 보호하는 게 절대 명제”라며 박 전 대표의 ‘수호신’을 자처했다. 그는 “과거 큰 판(대선)에서 공격도 해보고 방어도 해본 사람은 홍준표, 이재오, 김문수, 정형근 네 명 정도인데 김문수 지사는 지사로 나가 있고 정형근 선배는 정치권 밖에 있다”며 “이재오 선배는 대선 뛰겠다고 하니 이제 내가 박 전 대표를 방어해야 할 유일한 장수”라고 강조했다.
홍 대표 앞에 놓인 또 다른 난제는 친이명박계-친박근혜계 대립에서 신-구주류 대립으로 구도가 변하고 있는 당내 계파·세력 간 대결 구도를 어떻게 깨느냐다. 집권여당의 ‘컨트롤 타워’로서 위기관리의 리더십, 조율의 리더십이 필요한 대목이다.
그 첫 시험대는 진보 정책을 내세운 황우여 원내대표-이주영 정책위의장과의 정책 조율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큰 틀에서는 ‘친서민’과 ‘복지정책 확대’라는 쇄신 방향과 궤를 같이할 것으로 보인다. 홍 대표는 “대표가 돼도 서민특위위원장을 겸직하겠다”며 택시대책, 대부업계 이자율 인하 등 서민대책을 우선순위로 꼽았다.
하지만 황 원내대표와는 ‘반값 대학등록금’ ‘감세 철회’ 등을 둘러싸고 이견을 드러낸 만큼 지도부 내부 의견 대립도 예상된다. 경우에 따라 ‘좌클릭’ 정책의 속도 조절 또는 수정 가능성도 있다.
당·청 관계 정립 문제도 넘어야 할 산이다. 전대 과정에서 신주류 원내대표단의 청와대에 대한 일방적 차별화에 경계의 목소리가 제기됐기 때문이다. 총선에서는 성과를 볼지 몰라도 대선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게 친이계 주장이다. 따라서 청와대에 끌려 다니는 모습은 탈피하되, 지나친 차별화가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은 방지하기 위한 묘책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홍 대표는 “사전에 정부를 설득하고 조율하고 결과물을 국민에게 내놓는 게 여당”이라고 강조했다.
공천제도 개혁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것도 새 대표의 역할이다. 상향식 공천제와 인재 영입 방안 등도 심도 있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총선·대선을 앞두고 야권과의 대치전선도 갈수록 첨예해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등 쟁점이 걸려 있는 8월 임시국회는 홍 대표의 대야 역량을 시험해 볼 수 있는 첫 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