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에 투표율 뚝… ‘대의원 표심’이 운명 가를 듯
입력 2011-07-03 21:43
“이제 전당대회 순위는 대의원 표심에 달렸다.”
한나라당 ‘7·4 전당대회’를 하루 앞둔 3일 7명의 당권 후보들은 하루 종일 전화통을 붙잡고 있었다. 전대 당일 현장에서 투표하는 8881명의 대의원들에게 한 표를 호소하기 위해서다. 이처럼 후보들이 대의원에게 공을 들이는 이유는 이들이 행사할 표의 중요성이 예상보다 커졌기 때문이다.
당초 이번 전대부터 선거인단이 21만여명으로 늘면서 1만명도 채 안 되는 대의원들의 표심은 큰 변수가 되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었다. 하지만 당원(19만4076명)과 청년선거인단(9443명) 투표가 진행된 3일 전국적으로 장맛비가 쏟아져 투표율은 25.9%로 저조했다. 경북 42.1%, 대구 39.4%, 부산 24.9% 등 영남권 투표율은 전국 평균을 웃돈 반면, 호우가 집중된 경기(20.0%) 인천(19.4%) 등 수도권은 평균을 밑돌았다. 7만명 이상으로 전망됐던 당원·청년선거인단 투표 참여자가 5만2000여명으로 줄어듦에 따라 전체 투표수에서 대의원 표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이다. 당일 투표하는 대의원은 국회의원과 원외 당협위원장, 광역·기초의원, 당 중앙위원 등이어서 참여율이 100%에 가까울 것으로 예상된다.
투표율이 낮을 경우 ‘조직’의 힘이 발휘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캠프별 표정은 엇갈렸다. 친이명박계의 지원을 받고 있는 원희룡 의원 측은 당원이나 대의원 등 ‘예정된’ 투표 참여가 많아 유리할 것이라는 전망을 조심스럽게 내놓았다. 반면 나경원 의원은 “비가 많이 와서 투표율이 낮다고 하는데 조직이 없는 저에게는 불리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홍준표 의원 측은 “대세가 이미 결정됐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앞서 2일 한나라당 전국위원회는 이해봉 전국위의장의 사퇴 속에 논란이 됐던 경선 규칙 변경을 골자로 한 당헌 개정안을 재의결했다. 지도부는 선거인단에 연락이 닿지 않거나 주소가 잘못 기재돼 있어 투표의 법적 효력 논란이 일 수 있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도 “당에서 등록된 주소 등으로 모두 연락을 취했기 때문에 법적으로 문제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정희수 사무총장 직무대행은 “일반 당원은 각 당협이 제공한 명단을 기반으로 선거인단을 추첨했다”며 “주소지를 옮기고 연락처를 바꾼 당원이 있다면 이는 당협 차원에서 책임질 일이지, 중앙당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고 밝혔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