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대학 휴교령은 시위막기 고육책?… 평양에 심상찮은 바람 부나

입력 2011-06-30 18:26

북한 당국이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을 휩쓸고 있는 ‘재스민 혁명’ 유입을 막기 위해 대학가 단속에 부심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 소식통은 30일 “북한 대학에 10개월간 휴교령이 떨어졌다는 최근 외신 보도에 유의하고 있다”면서 “사실로 확인될 경우 이례적인 조치”라고 말했다.

앞서 일본 교도통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 미국 폭스뉴스 등은 북한 당국이 내년 ‘강성대국 진입의 해’를 준비하기 위해 대학생을 건설현장에 투입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내년 4월까지 휴교령이 내려졌다고 28일 보도했다. 외신들은 이 같은 조치는 재스민 혁명에 두려움을 느낀 북한 당국이 대학생 시위를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북한 대학생은 통상 모내기철과 추수 기간에 각각 40일 정도 동원된다. 재해 방지나 도로 보수 활동이 이뤄지는 ‘국토관리 총동원 기간’에도 수시로 투입된다. 다른 정부 소식통은 “10개월이나 휴교령을 내리는 것은 전례를 찾아보기 어렵다”면서 “건설인력 보강 차원과 함께 사상 통제의 목적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북한은 실제로 대학생 등의 시위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최근 미국 정보 당국 보고서를 인용, “최근 북한이 최루탄투척기, 고무탄환총, 개인방패, 야광봉 등 시위진압 장비를 구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북한은 민주화 시위가 있었던 지역 주재원들의 귀국을 막고 있으며, 해당 지역에 노동자 파견을 무기한 연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전문 매체인 데일리NK는 평양철도대학 담장에 ‘박정희·김정일 독재자, 박정희 나라경제 발전시킨 독재자, 김정일 사람들 굶겨 죽인 독재자’란 글이 흰색 분필로 쓰였다고 평양 소식통을 인용해 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같은 움직임이 조직적인 시위로 확산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는 게 북한 전문가들의 대체적 견해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공산권이 붕괴했던 1980년대 후반∼90년대 초반에도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산발적인 반발 움직임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북한은 초기부터 (반발의) 싹이 제거되기 때문에 조직화되기 어려운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도경 장지영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