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달래라"… 靑, 밤늦도록 진화작업

입력 2011-06-30 01:05

청와대는 29일 검찰의 집단 반발 움직임이 알려지자 곤혹스러운 기색이 역력했다. 일단 외부적으로는 ‘특별한 대응을 하지는 않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일부 검찰 간부들을 중심으로 항의성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사태를 확대시키거나 전원 사표를 수리하는 식의 극단적인 조치들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핵심 관계자 역시 “검·경 수사권 조정 문제는 이미 정부부처 간 논의를 통해 결론이 내려진 문제”라며 “일부 반발이 있을 수 있으나, 큰 원칙에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날 밤늦게까지 사의를 표시한 대검 간부들을 상대로 진화 작업에 주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검찰 간부들을 설득하고 있으며, 최악의 사태는 피할 수 있다는 것이 청와대의 판단”이라고 전했다. 청와대는 특히 검찰 간부들에게 검·경 수사권 조정 문제가 검찰의 독립성을 해치는 상황이 되지는 않을 것이란 점을 집중 설명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확산일로에 있는 검·경 수사권 갈등이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을 약화시킬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지난 20일 이 대통령의 직접 지시를 받아 청와대 서별관에 검찰과 경찰 관계자들을 불러 중재안을 관철시켜 냈다.

당시 청와대 참모들은 “이 문제를 조정하지 못하면 청와대 참모들이 제대로 일을 하지 않는 것”이라는 결기까지 보였다. 이 때문에 청와대는 검·경 수사권 중재안이 국회에서 수정되고, 이에 대한 검찰의 반발이 가시화되는 상황이 부담스럽다. 게다가 다음 달 중순쯤 김준규 검찰총장 후임 인선 작업을 진행해야 하고, 저축은행 비리 수사까지 겹쳐 있다. 이 대통령의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는 형세다.

남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