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교육 추진전략’… 무거운 가방은 내려놓지만 ‘인터넷 중독’ 해결책 있나

입력 2011-06-29 21:30


정부가 내놓은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은 정보기술 능력이 뛰어난 우리나라 학생에게 디지털 공교육을 더 강화하자는 취지다. 국내 학생의 디지털 정보처리 능력이 세계 최상급인 만큼 이에 걸맞은 스마트 교육을 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저소득층 디지털 기기 보급 방안, 인터넷 중독 등 부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스마트 기기가 보편화되리라는 장밋빛 전망만으로 섣부르게 내놓은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초·중·고 교육, 스마트 교육으로=추진 전략에 따르면 2015년까지 보급될 디지털 교과서는 교과 내용과 참고서, 문제집,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등의 기능을 합친 것이다. PC, 스마트폰 등 모든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 가능하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디지털 교과서가 학생의 무거운 책가방을 대신한다”고 의미를 부여했지만 곧바로 현재 교과서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계자는 “디지털 교과서가 현재 교과서를 대체하는 것은 아니다. 당분간 병행 사용된다”며 “디지털 교과서에도 교과서와 같은 법적인 지위를 부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2015년까지 학생들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모든 학교에 ‘무선 클라우드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 환경이 만들어진다. 인터넷 서버에 교육용 콘텐츠를 저장해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내려받아 사용하는 기술 방식이다.

교과부는 달라지는 수업 형태에 교사를 적응시키기 위해 내년부터 매년 전체 교원의 25%를 대상으로 스마트 교육 연수를 실시하고 모든 교사에게 교육용 스마트 기기를 보급한다. 교과부는 우선 내년 3월 세종시에 개교하는 나성초등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을 시범 실시한다.

예산은 3년간 2조2000억원 수준이다. 현재 매년 교육정보화 사업으로 투자되는 기존 예산에 이미 확정된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 구축 예산 1조1800억여원을 감안하면 신규 예산은 9600억원 정도다. 교과부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증액분으로 충당할 계획이다.

◇스마트폰, 스마트 기기는 누가 대나=문제는 스마트 교육이 가능한 교육 인프라다. 학생에게 스마트 기기가 무료 보급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정부가 나서 학생에게 PC나 스마트 기기를 나눠주는 개념은 아니다”며 “스마트 기기 시대를 대비해 미리 교과서도 디지털 콘텐츠로 바꾸는 것”이라고 말했다. 교과부는 학교에 PC 150만대가 구비돼 있고 스마트 기기가 대중화돼 자연스럽게 스마트 교육이 익숙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교과부는 지난해 저소득층 자녀 교육 정보화를 위해 18만7000명에게 498억원을 지원하는 등 격차 해소에도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05년 이후 매년 1만∼2만대씩 PC를 보급했다.

그러나 전체 초·중·고교 학생 750만여명의 스마트 기기 확보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클라우딩 환경이 조성돼도 무용지물이다. 손충모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대변인은 “아무리 스마트 기기가 상용화됐지만 가정형편과 경제적 조건에 따라 달라 일반화되기 어렵다”며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주로 게임 등에 사용하는 것만 보더라도 스마트 기기가 학습에 적절한 수단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스마트 교육이 학생들의 창의성과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늘려주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다. 안 그래도 심각한 학생들의 인터넷·게임 중독이나 인성교육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