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법원 판결후 당내 갈등 일단 봉합

입력 2011-06-30 01:14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29일 여의도 당사에서 7·4 전당대회에 출마한 당 대표 후보들과 긴급 비대위회의를 열고 전국위원회를 소집해 기존의 당헌 개정안을 그대로 재의결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당헌 개정을 위한 전국위 안건을 다시 논의해 결정해야 한다는 당내 일부 이견은 봉합될 전망이다.

비대위는 28일 법원이 지난 7일 소집된 전국위에서 개정한 당헌의 일부 효력을 정지하는 판결을 내리자, 다음 달 2일 전국위를 재소집해 문제가 된 안건을 다시 의결한 뒤 예정대로 전대를 치르기로 하는 등 서둘러 사태 수습에 나섰다. 법원이 개정 당헌에 대해 문제를 지적한 핵심은 선거인단 21만명으로의 확대였다. 여기에 의원 일부가 지난번 전국위에서 이미 부결된 일반인 여론조사 결과 30% 반영 규정 폐지 문제를 재논의하자고 요구해 논란을 빚었다.

이날 오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일부 친이명박계인 권택기·조해진 의원 등은 “7명 후보와 비대위가 전대 룰을 만들고 이를 전국위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문제는 닷새 앞으로 다가온 전대가 열리기 전까지 새로운 합의안을 도출해 낼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데 있다. 이 경우 전대 연기가 불가피하다. 장제원 의원은 “전대를 연기하는 한이 있더라도 (합의안을 만들어) 전국위에서 충분히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내 반발이 거세지자 비대위는 이날 밤늦게 후보들을 불러 전국위 재소집 및 상정 안건에 대한 동의 절차를 밟았다. 안형환 대변인은 “전체 7명 후보의 의견을 일일이 확인했고, 모두 2일 전국위를 다시 여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후보들은 또 전국위에서 한번 의결했던 안건을 재의결하자는 데도 모두 찬성했다. 여론조사 30% 반영 규정도 안건으로 상정키로 했다.

비대위와 후보 간 합의로 논란은 일단 잠잠해질 전망이지만 여전히 불씨는 남아있다. 전대 룰을 둘러싼 계파별 입장은 미묘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기존 당헌처럼 당 대표 선출 시 여론조사가 30% 반영될 경우 인지도가 높은 홍준표 나경원 의원에게 유리하고, 친이계가 호감을 갖고 있는 원희룡 의원에게는 불리한 측면이 있다. 친이계 일부에서는 전국위에서 여론조사 비율을 조종해야 한다는 주장을 여전히 제기하고 있다.

반면 쇄신파나 친박근혜계는 안건 내용 수정이 절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친이계가 세를 결집하는 상황에서, 여론조사를 없애거나 비중을 줄일 경우 전대가 ‘조직 선거’ ‘계파 선거’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2일 예정된 전국위에서 양측의 대립이 폭발할 경우 전대를 앞두고 당이 겉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져들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노용택 유성열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