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장 행정에 인천 올해도 물난리 우려

입력 2011-06-28 22:17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인천지역 저지대의 침수 피해가 우려된다.

인천시와 자치구·군이 예산 부족을 이유로 수방대책 마련에 미적거리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20일 인천에는 시간당 92.5㎜의 폭우가 내려 주택과 상가 등 5500여 가구가 침수돼 모두 91억원의 재산 피해를 입었다.

28일 인천시 소방대책본부에 따르면 시와 자치구·군은 당초 침수피해 예방을 위해 저류조 14곳을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예산 부족으로 사업을 중단한 상태다.

이 사업은 타당성 조사와 기초조사에만 최대 5억원이 들고, 총 사업비의 40%를 지방비로 부담해야 한다. 이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들은 재정 여력이 없다며 예산을 거의 책정하지 않았다. 당초 시는 시내 14곳에 37만1400t 용량의 저류조가 더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현재 인천시내 지방자치단체, 관공서, 민간단체 등이 운영하는 21개 빗물저류시설의 저류용량을 다 합쳐도 27만3900여t에 불과하다.

저지대 반지하 주택의 하수 역류를 막기 위해 재난관리기금으로 추진하기로 한 역류방지밸브 설치 사업도 지연되기는 마찬가지다. 시는 지난 22일에서야 지난해 침수 피해가 심했던 부평구, 계양구 등 5개 구·군에 사업비를 지원했다. 이 때문에 장마가 거의 끝나는 7월 중순은 돼야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될 전망이다.

집중 침수지역을 대상으로 벌이고 있는 하수관거 교체 등 관련 사업은 현재 88%의 진행률을 보이고 있다. 인천시내 대로변에 설치된 하수관거 대부분은 시간당 74㎜(20년 빈도 기준)의 강수량을 기준으로 설계됐고, 골목길 하수관거는 시간당 54㎜의 강수를 감당할 수 있는 용량이다.

이에 따라 시 소방대책본부는 최근 1억4000만원을 투입해 대형 양수기 11대를 구입하는 등 긴급 대책을 마련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발생한 피해는 100년 빈도의 비가 와서 생겼고, 600㎞에 이르는 기존 하수관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3조원이 필요하다”며 “내년부터 신규 사업 시 30년 빈도 강우주기에 맞춰 시간당 81㎜의 강수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