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적합 업종서 제외”-“대기업 과점 우려”… 두부 논쟁 ‘부글 부글’

입력 2011-06-27 18:31

두부가 중소기업 적합업종 핵심쟁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두부가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품목으로 신청되고 동반성장위원회가 이를 검토하기로 한 이후 두부를 둘러싼 대·중소기업 간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중소 두부업체들로 구성된 한국연식품협동조합연합회는 2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두부를 제외해야 한다는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주장은 억지”라고 말했다.

전경련이 지난 22일 두부를 중소기업 적합업종에서 제외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데 대한 반박이다. 전경련은 2006년 대기업 참여 이후 두부 시장이 확대됐다는 점을 강조하며 대기업이 기존의 판두부 시장 외에 포장 및 대용식 두부 시장을 개척하는 등 두부산업을 발전시켜 왔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반면 한국연식품협동조합연합회는 “두부는 제조과정이 단순해 대규모 시설투자가 필요 없다”며 “현재 1580여개 업체 중 99% 이상이 중소업체 및 자영업자일 만큼 중소기업에 적합한 품목”이라고 강조했다.

전경련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한다면 독과점 폐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서도 “이미 2∼3개 대기업이 시장의 50% 이상을 점유할 만큼 과점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반박했다.

소비자의 선택에 대해서도 양측의 주장은 엇갈린다. 전경련은 소비자가 두부를 살 때 제조회사, 브랜드, 위생, 안전 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데 대기업의 시장 진출 이후 두부 제품의 위생 수준이 크게 향상됐다고 주장한다. 2005년 15.8%였던 두부의 식품안전기준 위반비율이 2008년에는 5.4%로 개선됐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최선윤 한국연식품협동조합연합회 회장은 “소비자들은 어떤 브랜드 제품인지를 보고 두부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두부가 얼마나 신선한지를 따진다”며 “‘끼워팔기’ ‘1+1행사’ 등을 무기로 한 대기업 제품이 대형마트 등을 장악하면서 신선하고 좋은 품질의 중소기업 제품이 설 자리를 잃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중소기업이 서로 다른 주장을 내세우며 부딪치고 있는 상황이지만 적합업종 선정 작업은 아직 준비 단계다. 동반성장위원회 운영부 오완진 부장은 “중기 적합업종은 대·중소기업 대표들이 동수로 참여하는 위원회 합의로 선정할 것이기 때문에 아직은 어떤 입장도 밝힐 단계가 아니다”고 말했다.

문수정 김수현 기자 siempr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