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년에 한번 쓰나미 대비”… 日정부, 만일의 사태 종합대책 마련키로
입력 2011-06-27 21:38
최악의 동일본 대지진에 놀란 일본 정부가 향후 쓰나미 대책과 관련해 ‘1000년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한 최대 규모의 가능성에도 대비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26일 중앙방재회의 전문조사회를 열어 앞으로 쓰나미 대책에 관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간보고서를 확정했다고 도쿄신문 등 현지 언론들이 27일 보도했다.
중간보고서는 이번 동일본 대지진을 ‘지금까지 상상하지 못했던 규모’로 규정하고 기존의 50∼150년에 1회 빈도로 일어날 수 있는 쓰나미 외에 빈도는 낮지만 최대급 쓰나미가 발생할 가능성 등 두 가지 경우로 나눠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중간보고서는 “동북지방에서 지층의 쓰나미 퇴적물을 보면 869년 조간(貞觀) 지진 같은 대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는데도 기존의 방재대책에선 제외됐었다”고 지적했다. 지질조사 등에 따르면 조간 지진은 적어도 규모가 8.3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일본 동북지방에선 지난 3000년간 이 같은 초대형 지진과 쓰나미가 세 차례 정도 발생했다. 도쿄신문은 이와 관련해 “1000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최대 규모 쓰나미에도 대비하자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한편 일본에서 원전 가동 여부를 국민투표로 묻자는 시민단체가 출범해 활동에 들어갔다. 시민단체 ‘모두 함께 결정하자 원전 국민투표’는 지난 25일 도쿄에서 총회를 열고 중립적 입장에서 내년 3월 국민투표 실시를 목표로 활동하기로 했다.
영화감독 고바야시 쇼타로(小林聖太郞)와 배우 야마모토 타로(山本太郞), 가와무라 다카시 나고야 시장 등 400여명이 발기인으로 가입한 상태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