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와대 회동 성과 후속대책에 달렸다
입력 2011-06-27 17:54
이명박 대통령과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27일 청와대에서 2시간5분 동안 조찬회동을 갖고 민생경제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이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 간 청와대 회동은 2008년 9월 25일 이후 2년9개월 만에 열렸다. 6·27 청와대 회동에서 이 대통령과 손 대표는 일자리 대책 등 3개항에 합의했으나 대학 등록금 인하 문제 등 3개항은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이날 회동에 대해 ‘절반의 성공’으로 평가하는 시각도 있으나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고 본다. 국회에서 여야가 현안마다 사사건건 대립하는 가운데 두 지도자가 만나 일부 현안이나마 정제된 해법을 도출했다. 여의도 정치가 여야 간 대립과 갈등으로 불통이 된 상황에서 두 사람이 만나 길을 열었다. 따라서 이번 6.27 회동은 의미가 적지 않다.
산적한 민생 현안들에 대한 쾌도난마(快刀亂麻)식 해법을 기대하는 것은 성급하다. 두 지도자는 향후 다시 만나고,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 민생 현안의 해법을 찾아내야 한다. 필요하다면 배석자 없이 단독으로 만나 흉금을 터놓고 심도 있는 대화를 해야 한다. 대통령과 야당 대표의 단독회동을 정치음모, 정치공작적 차원에서 보려는 이들도 있지만 국민을 위해서라면 의제와 형식, 시간에 구애되지 말고 만나야 한다.
이 대통령과 손 대표는 가계부채와 저축은행 사건 그리고 일자리 창출에 대한 포괄적 해법에 합의를 했다. 이후 여야와 정부는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향후 합의내용을 보다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6·27 청와대 회동의 합의를 바탕으로 세밀한 후속 조치를 내놓아야 한다. 큰 틀에서 합의한 현안들은 국민 부담과 생활에 직접 영향을 주는 사안들이므로 조속히 후속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두 지도자는 조속히 다시 만나 해법에 합의하지 못한 대학 등록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그리고 추경편성 문제 등을 재논의하길 촉구한다. 당파적 이익과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대승적 차원에서 위민의 정신으로 통 큰 결단을 내려주길 기대한다. 국민은 두 지도자가 머리를 맞댔다는 것만으로 큰 위안을 얻는다는 점을 기억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