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진重 노사, 이제라도 공생의 길 찾아야
입력 2011-06-27 17:53
총파업과 직장폐쇄로 맞선 한진중공업 노사가 27일 노사협상을 타결했다. 노사는 노조의 총파업 철회와 업무복귀, 정리해고자 중 희망자에 한해 희망퇴직 처우 적용, 노사간 형사고소·고발 취소, 노조에 대한 민사상 손해배상청구소송 최소화 등에 합의했다. 사측의 대규모 정리해고에 반발해 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간 지 6개월여 만에 노사합의를 이끌어낸 것이다. 늦었지만 다행스런 일이다.
노사 양측은 총파업과 직장폐쇄로 인해 죽음의 공장으로 변해가고 있는 영도조선소, 울산공장, 다대포공장을 살리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 특히 3년째 신규 수주 물량이 없고, 선박 4척에 대해 인도 지체 보상금까지 물어야 하는 영도조선소는 말 그대로 ‘식물인간’이나 다름없다. 하루빨리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회생하기 어렵다.
양측은 합의사항을 중심으로 상대방 입장을 존중하면서 회사 운영을 정상화하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 크레인 고공시위를 벌이고 있는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과 일부 노조 강경파들이 노조 집행부를 비난하고 있지만 이에 휘둘리면 안 된다.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는 중국 조선업체들이 우리 조선업체들과 세계 선박 수주 경쟁에서 수위 다툼을 하고 있는 마당에 노사가 발목을 잡아서는 곤란하다. 합의사항 이행 등을 이유로 노사가 대립각을 세운다면 공생의 길이 아니라 공멸의 나락으로 떨어진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한진중공업 노사 반목과 대결 구도는 회사 장래에 악영향을 끼치고, 협력업체의 줄도산을 야기하며, 부산 경제는 물론 국가 경쟁력까지 갉아먹는다는 지적을 염두에 둬야 한다. 그것이 이번 사태가 노사에 주는 중요한 메시지임을 명심하기 바란다.
한진중공업 노조의 총파업을 외부에서 지원하고 투쟁동력을 제공해온 일부 노동·사회단체 회원들은 이 회사 노사의 타협정신을 존중하고, 당장 현장에서 손을 떼야 한다. 노사갈등을 사회·정치 이슈로 확대·재생산하려는 외부 세력의 강성 논리로는 한진중공업 노사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