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경전철 갈등 확산
입력 2011-06-27 00:40
경기도 용인 경전철(에버라인)을 둘러싸고 용인시와 시행사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용인시는 개통이 지연되고 있는 경전철의 각종 시설물에서 150여건의 하자가 발견됐다고 26일 밝혔다. 그러나 개통시기와 투자금 지급문제 등으로 국제 중재재판을 진행 중인 시행사측은 이를 인정할 수 없다며 반박하고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 1월 전문기관에 의뢰해 1개월여에 걸쳐 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교각 15곳에서 심각한 균열이 발견됐다. 또 엘리베이터가 상습 침수지역에 설치돼 감전사고 우려가 있는 데다 스크린도어가 전혀 설치되지 않아 이용객들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고, 역사가 5층 높이의 교각 위에 설치돼 있지만 계단에 미끄럼 방지 시설도 제대로 돼 있지 않다.
시 관계자는 “이번 점검 과정에 시행사가 주요 시설에 출입하지 못하도록 막아 육안 검사가 가능한 부분을 대상으로 이뤄졌지만 일부 교각의 경우 보강공사가 필요할 정도로 안전도 D급으로 판정됐다”면서 “전체 시설물을 대상으로 정밀 조사하면 하자가 더 많이 발견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이 시설을 그대로 인수할 경우 시민의 안전에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가 경전철 시설을 인수하더라도 시행사로부터 거액의 하자 보수비를 받아야 할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용인경전철㈜은 “시행사 자격으로 실시한 안전점검에서 각 시설물이 A등급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모든 시설은 시가 승인한 도면대로 설치된 것이고 만약 문제가 있었다면 공사 단계에서 중단시켰어야지 이제 와서 문제를 제기하는 시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다”면서 “시가 제기하고 있는 하자들은 지난해 이미 거론됐던 것이고 전체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이번 점검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덧붙였다.
1996년 사업성 검토를 시작한 용인경전철은 2005년 11월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 5년여 만인 지난해 6월에 15개 역사에 총길이 18.4㎞ 구간의 공사를 마무리했다. 그러나 일부 시설에 대한 부실을 제기하고 있는 용인시와 아무런 근거 없이 준공과 개통을 지연시키고 있다고 주장하는 시행사의 입장 차이로 개통 시기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용인=김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