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에 공적자금 또 1조4천억
입력 2011-06-24 21:51
저축은행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을 매입하는 데 공적자금 1조4000억원이 투입된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4일 전체회의를 열고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1조9000억원(이자 포함 시 2조2000억원) 규모의 저축은행 PF 부실채권을 매입하도록 결정했다고 밝혔다. 공자위는 채권 매입에 구조조정기금을 투입하기로 의결했다. 캠코는 사후정산 조건으로 장부가액의 70~80%에 부실채권을 매입하게 돼 투입될 기금은 약 1조4000억원이 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3월 말부터 89개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사업장 469곳을 전수조사한 뒤 정상·보통·부실우려·부실 등 4단계로 분류했다. 조사결과 전체 사업장 중 절반을 넘는 251곳(53.5%)이 ‘부실우려’ 이하 상태로 판정됐다. 부실채권 1조9000억원은 3월 말 실태조사에서 ‘부실우려’ 이하 판정을 받은 1조8000억원, 3월 말 당시에는 ‘보통’으로 분류됐지만 이후 ‘부실우려’ 이하로 판정된 1000억원을 더한 것이다.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매각은 2008년 12월(3000억원), 2009년 3월(1조2000억원), 지난해 6월(3조7000억원)에 이어 4번째다. 3차 매각 때부터 쓰인 공적자금은 4조원에 달하게 됐다.
금융위는 부실채권을 매각하는 저축은행들이 빨리 정상화될 수 있도록 자구노력을 포함한 경영개선협약(MOU)을 체결키로 했다. 대주주 증자, 우량자산과 계열사 매각,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8%를 달성하도록 권고했다. 금융위는 목표 이행 현황을 분기별로 점검하고 결과를 공자위에 보고하기로 했다.
한편 저축은행들의 PF 부실채권 매각 참여는 생각보다 저조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계에 따르면 저축은행 10여곳이 전수조사 결과에 반발, 채권 매각 거부 의사를 밝혔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잣대가 너무 엄격했다”며 “정상화 가능한 채권도 매각으로 분류됐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