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61주년] 국민 10명 중 8명 “北 도발시 군사적 대응해야”
입력 2011-06-24 18:36
국민 10명 중 8명은 북한의 국지도발 가능성이 높으며, 연평도 포격사건이 재발할 경우 군사적 대응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4∼11일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과 청소년 1000명을 대상으로 ‘국민 안보의식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성인 76.1%와 청소년 78.7%는 ‘한반도에서 전쟁이 재발할 가능성은 낮지만 북한의 연평도 포격과 같은 무력도발 가능성은 높다’고 응답했다. 또 북한이 무력도발할 경우 성인 84.0%와 청소년 76.8%는 군사적 대응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대응 수위는 성인의 경우 ‘모든 군사력을 동원한 강력한 대응’이라는 응답이 47.2%로 가장 많았고, 청소년은 ‘공격한 수준만큼만 군사력 대응’이 48.0%로 다수를 차지했다. ‘군사적 대응은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은 성인 13.4%, 청소년 21.5%에 불과했다.
설문 조사자의 절반은 북한을 ‘경계하고 적대할 대상’이라고 답했다. 특히 청소년 사이에서 이 같은 응답 비율은 51.4%로 1년 전보다 9.9% 포인트 증가하면서 절반을 넘었다.
행안부는 북한의 천안함 공격과 연평도 포격으로 안보의식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본인의 안보의식 수준에 대해 성인은 55.1%가 ‘안보의식이 높다’고 답했으나 청소년은 35.8%만이 ‘높다’고 밝혀 성인에 비해 청소년의 안보의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고생과 20대는 절반 이상이 6·25전쟁이 몇 년도에 일어났는지 몰랐다. 청소년의 57.6%와 19∼29세의 55.1%가 ‘6·25전쟁이 몇 년도에 일어났느냐’는 질문에 틀린 답을 했고, 30대 35.7%, 40대 20.4%, 50대 이상 37.1%가 6·25전쟁 발발 연도를 기억하지 못했다.
황일송 기자 il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