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때 한국측량 기준점 ‘도쿄 원점’ 대지진으로 20∼30㎝ 이동

입력 2011-06-23 19:00

일제강점기인 1910년부터 101년간 한국 측량의 기준점 역할을 해 온 ‘도쿄 원점’의 위치가 동일본 대지진 때문에 바뀐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 국토지리원은 23일 도쿄 미나토(港)구 도쿄타워 부근에 있는 일본 경위도(經緯度) 원점(일명 도쿄 원점)이 지난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에 따른 지각 변동으로 20∼30㎝가량 움직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도쿄 원점의 좌표(동경 139도44분28초8759, 북위 35도39분29초1572)도 변했을 것으로 보고, 지난 21일부터 5일간 위성항법장치 측량기를 이용해 좌표를 다시 잴 방침이다.

일본은 1892년 당시 도쿄천문대가 있던 이곳을 경도와 위도의 기준점으로 정했고, 1910년부터 조선에도 적용했다. 해방 이후에도 한국의 토지 소유관계를 나타내는 지적도(地籍圖)와 각종 지도는 도쿄 원점을 기준으로 만들어졌다.

한국은 2000년대 들어 “공간 정보의 대일 종속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여론에 따라 도쿄 원점 대신 지구 중심을 원점으로 위성항법장치(GPS) 정보를 이용하는 ‘세계측지좌표계’에 따라 지도를 만들기 시작했다. 하지만 지적(地籍) 측량은 여전히 도쿄 원점을 기준점으로 사용하면서 세계측지좌표계를 일부 같이 쓰는 실정이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