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인민보안성 자료 보도 이후] “북 실상 파악 도움” 통일부·국정원 자료 분석 열공 중
입력 2011-06-22 18:37
본보의 ‘북 인민보안성 내부자료 최초 공개’ 보도 이후 북한 내부 실상을 파악하기 위한 각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통일부는 인민보안성(현 인민보안부, 우리의 경찰청)의 ‘법투쟁부문 일군(꾼)들을 위한 참고서’를 입수해 분석 작업을 진행 중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22일 “자료가 방대해 아직 (분석 작업이) 초입 단계”라며 “북한 실상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미 지난해 자료를 입수한 국정원도 본보 보도를 계기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 제기된 이 자료의 진위 논란도 원세훈 국정원장의 진본 발언으로 수그러들었다.
북한 연구자료 입수에 애를 먹고 있는 학계의 관심은 더욱 뜨겁다. 북한법연구회는 다음 달 이 자료를 가지고 학술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북한의 형법, 형사소송법, 민법 분야의 국내 학계 권위자들이 모두 참여한다. 세종연구소, 통일연구원, 우리법연구회 등 연구자들도 자료 분석에 한창이다.
본보 보도로 북한 내에서는 자료 유출자 색출 등 ‘후폭풍’이 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북한법에 정통한 국내의 한 교수는 “이 내부자료 맨 뒷장에 등장하는 저자들이 대부분 신진 학자들로 보이는데 혹시 이들에 대한 숙청작업이 진행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미국 CNN과 미국의소리(VOA) 방송, 일본 NHK 등 일부 외신들도 갈렙선교회 김성은 목사에게 자료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유사 자료의 범람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탈북자는 “북한 자료를 입수해 정부나 언론에 음성적으로 팔기 위한 자료 쟁탈전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며 “남한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일부 탈북자들의 이 같은 시도로 ‘믿거나 말거나’ 식 정보가 양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일부 고학력 탈북자들은 본보에 전화를 걸어 자신들이 이 자료를 먼저 입수했다는 취지로 자료의 저작권을 주장하면서 법적 대응을 거론하기도 했다.
진보 진영에서는 이번 내부자료로 북한 사회 전체를 일반화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민족21 대표인 정창현 국민대 겸임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인육 등) 그런 사건들만 모아놓고 보면 북한 사회가 참 끔찍한데 그런 사건들이 얼마나 그 사회에서 일반적인가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성규 이도경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