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銀 신입 초임 속속 정상화… 금융권 ‘들썩’

입력 2011-06-22 21:31


금융권이 신입직원 초임 때문에 들썩이고 있다. 지방은행들이 잇따라 2009년 20% 삭감됐던 신입행원 초임을 원상복구하는가 하면, 한국거래소 임직원들은 신입직원의 깎인 연봉을 보전해 주기 위해 1인당 19만원씩을 내놓았다. 금융노조도 신입직원 초임 원상회복을 올해 노사 협상의 최대 요구사항으로 들고 나왔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북은행은 7월부터 신입행원 초임 20% 삭감 조치를 중단키로 했다.

앞서 부산은행과 대구은행도 올 1월부터 대졸 초임을 종전보다 20∼25% 상향 조정해 지급하고 있다. 이에 지난해 초 이후 입행한 행원들의 임금이 다음 달부터 20% 인상되면 지방은행과 시중은행의 초임 수준은 비슷해진다. 거래소의 경우 김봉수 이사장을 비롯한 임직원 670여명은 2009년과 2010년 입사한 직원 25명에게 총 1억2600만원을 내놓는 고육책을 썼다. 임원급은 30만원씩, 일반직원은 연봉의 0.2%를 십시일반으로 냈다. 이에 따라 신입직원들은 올해 연봉(3146만6000원)보다 500만원을 더 받게 됐다.

금융권의 신입행원 임금 삭감 바람은 2009년 정부의 ‘일자리 나누기’ 정책에서 비롯됐다. 정부는 2008년 말 발생한 금융위기로 고용시장이 얼어붙자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신입직원의 초임을 기관별로 10∼30% 대폭 삭감했다. 정부의 압박에 외국계 은행인 SC제일은행을 제외한 국민, 우리, 신한, 하나 등의 은행들도 20% 삭감에 동참했다.

하지만 삭감 조치 이전에 입사한 직원과의 신입사원 간 연봉 차이가 700만∼800만원 나다 보니 신입직원들의 상대적 박탈감과 이직이 문제가 돼 왔다.

정부 눈치를 보고 있는 시중은행들도 지방은행들이 임금 보전에 동의한 만큼 결국 이 문제를 본격 논의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거래소의 연봉 나누기에 대해 공공기관을 관리하는 기획재정부 측은 허를 찔렀다는 분위기지만 이를 막을 규정이 없어 답답해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공공기관 연봉을 평균 15% 정도 삭감하고 연봉 테이블을 만들었다”면서 “거래소 측이 연봉 테이블을 고치는 것이 아니라 임직원이 갹출해 메워주는 형태는 뭐라고 할 사안은 아니다”고 말했다.

김아진 이동훈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