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정세균 입장차로 개혁안 불발… 민주당도 경선룰 싸움
입력 2011-06-21 00:45
내년 총선 및 대선 후보 선출 방식을 둘러싼 민주당 내부의 물밑 싸움이 벌써부터 치열하다. 민주당 개혁특위는 20일 전체회의를 열어 총선·대선 경선 룰 등을 담은 당 개혁안을 확정할 방침이었으나, 위원들 간 이견으로 무산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완전국민참여경선제 지지 의견이 우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개혁특위가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배경에는 손학규 대표와 정동영·정세균 최고위원 등 이른바 ‘빅3’의 입장차가 자리 잡고 있다. 가장 큰 쟁점은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 선출방식이다. 개혁특위는 국민배심원단·당원·국민의 의견을 각각 3분 1씩 반영하는 ‘슈퍼스타K’ 방식과 완전국민참여경선 방식을 놓고 논의 중이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완전국민참여경선제를 주장하고 있다. 그는 지난 3일 개혁특위 위원 전원에게 편지를 보내 “완전국민참여경선제는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정치개혁 취지에 맞고 본선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정세균 최고위원은 “동원 선거 우려가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대신 당비를 내는 당원이 후보 선출에서 큰 역할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들 당원을 중심으로 선거인단 경선을 진행하고, 상황에 맞게 여론조사나 배심원 평가 등으로 보완하자는 것이다. 손 대표는 중립을 지켜야 하는 당 대표라는 점을 고려한 듯, “사안별로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며 말을 아끼고 있다. 다만 자신의 높은 대중적 지지도를 살릴 수 있는 방안을 직간접적으로 지지할 가능성이 크다.
이 같은 빅3의 입장차는 당내 입지와 지지 세력의 분포와도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옛 당권파인 정세균 최고위원은 당원을 관리하는 시·도당위원장 및 지역위원장에 대한 입김이 강하기 때문에 당원 중심의 경선 룰을 선호하고, 정동영 최고위원은 조직 동원력이 우세해 완전국민참여경선 방식을 주장한다는 것이다.
개혁특위는 대통령 후보 선출의 경우 완전개방형국민경선을 택하되, 지역 간 지지율과 당세의 격차를 고려하는 ‘지역별 인구비 보정 국민참여경선’을 병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