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새판짜기’ 6월이 고비… 우리금융 민영화·외환은행 인수문제 조만간 윤곽

입력 2011-06-19 18:59

국책은행 민영화와 민간 금융기관의 ‘짝짓기’를 중심으로 한 금융권 ‘빅뱅’의 성사 여부가 이달 중 판가름날 전망이다. 금융당국의 구상대로 새판짜기가 이뤄질지, 다음 정권으로 연기될지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첫 고비는 우리금융 민영화다. 금융당국은 오는 29일까지 우리금융 인수의향서(LOI)를 받을 계획이지만 유효경쟁 성립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 개정까지 추진하며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산은금융과 우리금융의 합병은 여론의 반대로 사실상 무산됐다.

금융지주사의 다른 금융지주 인수 조건을 대폭 완화한 시행령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다 해도 민간 금융지주가 우리금융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은 낮다. 신한·KB·하나금융 지주 수장들은 지난달부터 일제히 ‘인수 의사 없음’을 천명한 상태기 때문이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지난주 “유효경쟁은 문제없다”고 강조했지만 그동안 금융권 ‘빅뱅’을 둘러싼 금융당국의 리더십에 시장이 의문을 표시하고 있어 뚜껑을 열 때까지 안심은 금물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만약 유찰될 경우 금융당국이 기존 매각안을 철회하고 우리금융의 계열사를 분리매각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을 거란 예측도 나온다. 기존 금융지주사들이 우리투자증권 등 우리금융의 일부 계열사에 대해서는 일찌감치 인수 의사를 밝힌 만큼 신속한 매각을 위해 불가피한 방편이기 때문이다.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도 이달 중 윤곽을 드러낼 예정이다. 지난주 유회원 전 론스타코리아 대표의 외환카드 주가조작 사건에 대한 서울고법의 파기환송심이 개시된 데 이어 하나금융과 론스타 간 인수계약 연장 협상도 조만간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론스타가 증권거래법상 양벌규정에 대해 위헌소송을 제기, 법정공방이 장기화될 경우 금융당국이 법원 판단과 별개로 론스타의 대주주 적격성을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하나금융은 론스타와 지난해 11월 25일 외환은행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한 이후 인수자금도 확보해뒀지만 7개월째 계약을 마무리 짓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최악의 경우 금융권 새판짜기가 다음 정권으로 연기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내년 총선과 대선이 겹친 만큼 국책은행 민영화 등에 대한 정치권의 협조를 얻기가 요원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김 위원장이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산은금융·정책금융공사·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 등의 통합을 통한 정책금융 재편 구상 역시 단기간 실현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