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차기 대표는 수도권 인사로…” 한나라당 ‘7·4 全大’ 불출마 선언

입력 2011-06-16 21:22

차기 유력 당권 주자로 꼽혔던 한나라당 김무성 전 원내대표가 16일 ‘7·4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했다.

김 전 원내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영남 출신인 제가 당 대표를 맡는 것보다는 수도권 출신에게 당 대표를 맡기는 게 (내년 총선) 수도권 선거에서 단 1석이라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 불출마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전당대회는) 계파 연대라는 못난 짓을 하지 말고 ‘(TV 프로그램) 나가수’처럼 누가 진짜 정치인이냐를 가리는 서바이벌 게임을 벌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전 원내대표는 “이상득 의원이나 이재오 특임장관과 전화 통화한 적이 없다”며 불출마 결정이 친이명박계의 지원 유무와는 무관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친박근혜계의 지원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서 친이계마저 원희룡 전 사무총장, 나경원 전 최고위원 등과 자신을 저울질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지지 분위기가 미온적이자 불출마로 돌아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당선 가능성이라는 현실적인 고려도 배제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선거인단이 1만명 이내에서 21만여명으로 대폭 늘어난 상황에서 ‘여론조사 30% 반영’ 룰이 유지돼 인지도가 높은 후보들에게 밀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는 것이다.

실제 당내에선 이번 전대가 조직력보다는 인지도 싸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당 관계자는 “선거인단 수가 대폭 늘어나면서 전체 선거인단에서 당협위원장 추천인 수 비중이 10분의 1 수준으로 줄어 지금은 당협위원장 입김이 작용할 가능성이 낮아졌다”며 “조직선거 비중 낮아지고 여론선거 비중은 높아지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후보들도 저인망식 조직선거보다는 이슈를 통한 여론전, 이른바 ‘고공전’을 펼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남경필 의원이 대표적으로, 그는 15일 출마선언에서 서울시 무상급식 찬반 투표를 철회하라고 요구한 데 이어 이날 대학교육책임제, 고등학교 의무교육 등 민감한 교육문제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김 전 원내대표가 출마를 포기함에 따라 원 전 사무총장과 나 전 최고위원이 친이계 대표주자 자리를 놓고 다툴 전망이다. 선택지가 3개에서 2개로 줄어든 만큼 친이계는 쇄신파 남 의원과 사실상 친박계 단일후보로 예상되는 유승민 의원 등의 도전을 물리치고 당권을 거머쥘 후보가 누구인지를 놓고 급박하게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