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금융, 타 기관 M&A 나설 가능성… 수신기반 확대해 체질 개선

입력 2011-06-14 18:30

정부가 산은금융지주의 우리금융지주 입찰을 불허함에 따라 산은금융의 민영화도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산은금융은 당분간 수신기반 확대에 주력하면서 금융권 상황 변화에 따라 타 기관 인수·합병(M&A)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강만수 산은금융 회장은 입찰 배제에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산은금융 고위관계자는 14일 “우리금융 합병 문제는 민영화 과정에서 나왔던 하나의 변수에 불과하다”면서 “다시 원점에서 민영화를 위한 체질개선 작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산은금융은 그동안 수신기반이 취약하고 규모가 작아 민영화할 경우 생존 가능성이 낮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그러나 민유성 전 산은금융 회장 겸 산업은행장이 재임 당시 외환은행과 태국 시암시티 은행에 대한 공격적인 M&A를 추진했던 점에 비춰 조만간 재추진을 통한 전열 정비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산은금융의 첫째 대안은 여전히 우리금융과 그 계열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지주사의 타 지주 인수조건을 완화하는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을 개정한다 하더라도 우리금융 인수전에 복수의 다른 금융지주사들이 들어올 가능성이 낮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경우 금융위는 우리금융 계열사 일괄매각 대신 지난해 매각 당시와 마찬가지로 계열사 분리매각 카드를 꺼내들 수도 있다.

특히 이 방안은 정부가 우리금융을 국민주 또는 블록세일(대량 매매) 방식으로 매각할 때와 달리 경영권 프리미엄을 챙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금융 매각대금이 7조∼8조원 사이로 추정되는데 우리투자증권과 우리은행을 분리매각할 경우에도 각 2조∼4조원 사이의 매각대금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정부로서는 손해볼 게 없다는 해석도 나온다.

한편 강 회장은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우리금융 인수가 무산되면 사실상 산업은행 민영화는 거의 불가능한 상태가 아닌가 생각한다. 특혜라고 하는데 산은은 100% 정부 은행이므로 5000만 국민에게 혜택을 주는 건 특혜가 아니다”라고 불만을 표시했다.

강준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