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자건거 업그레이드 된다… 시스템 개선·운영지역 확대, 요금도 인하
입력 2011-06-14 22:00
서울시가 운영 중인 공공자전거 이용자가 7개월 만에 11만명을 넘어섰다.
시는 그간 접수된 불편사항을 반영해 공공자전거 시스템을 개선하고 단계적으로 운영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14일 시에 따르면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으로 요금을 내고 빌려 탈 수 있는 공공자전거 이용자가 지난해 12월 도입 이후 지난 12일까지 모두 11만559명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이용자는 지난 2월 이전에는 359명이었으나, 5월 이후 612명으로 늘었다.
시가 지난 4, 5월 공공자전거 이용자 76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선 이용자의 85%가 ‘공공자전거 시스템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공공자전거 확대 설치에 찬성하는 의견은 93%였다.
시는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와 여의도 일대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등 43곳에서 공공자전거 440대를 운영하고 있다.
시범운영 7개월간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시는 ‘공공자전거 업그레이드 5대 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통합운영센터를 가동하고 공공자전거 이용 문화 정착과 시민 신고·불편 사례를 개선할 계획이다.
특히 시는 이용자가 불편을 겪고 있을 때 CCTV로 현장을 확인, 스피커나 전화로 조치 사항을 안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일부 거치대에서 자전거가 빠지지 않는 일이 없도록 조작법 안내 스티커를 대여 장소에 부착하기로 했다.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대여 번호를 발송할 때도 이용 안내 문구를 추가하기로 했다.
시는 공공자전거 운용 인력을 11명에서 21명으로 증원하고 이동차량 점검 횟수도 하루 한 차례에서 두 차례 이상으로 늘리기로 했다. 시와 제휴한 기업의 공공자전거 정기회원 가입자가 공공자전거를 일정 횟수 이상 이용할 경우에는 요금 할인 혜택을 주기로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