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준 ‘주식 불공정 거래’ 혐의 기업 지원 논란

입력 2011-06-13 21:38

국무총리실, 지식경제부, 외교통상부가 주식 불공정 거래 혐의로 금융감독원의 조사를 받고 있는 기업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했던 사실이 13일 확인됐다.

‘왕차관’으로 불렸던 박영준 전 지경부 차관도 자원외교 차원에서 이 기업을 도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기업인 C&K마이닝은 지난해 12월 16일 카메룬 정부로부터 다이아몬드 개발권을 최종 승인받았다. 공시가 나간 뒤 C&K마이닝의 최대주주인 C&K인터내셔널의 주가는 연일 상한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16일 종가 기준으로 3465원이던 주가는 지난 1월 11일 1만8350원을 기록하며 5배 이상 폭등했다.

그러나 C&K인터내셔널이 자사주 29억원어치를 처분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가는 급락했다. 금감원은 내부 임원 등이 호재성 공시가 나온 뒤 매매 차익을 실현했는지 조사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 부처가 C&K마이닝을 적극 지원했던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지경부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민주당 김진표 의원실에 제출한 ‘박영준 2차관의 국무차장 재임시절, 자원외교 세부활동 내역’에도 같은 내용이 담겨 있다. 지경부는 카메룬과의 자원외교 주요 현안, 추진 성과 항목에 ‘C&K마이닝은 카메룬 정부와 다이아몬드 광산개발 계약체결 추진 중, 최종 재가 대기 중’이라고 밝혔다.

총리실이 민주당 최영희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박 전 차관은 국무차장으로 재직하던 2010년 5월 3∼15일 민관고위급대표단 단장으로 탄자니아, 카메룬을 방문했다. 카메룬과의 협력사업은 ‘한국 기업이 진출 중인 광물자원(금, 다이아몬드 등) 개발사업 개발권 부여 협조 요청’이었다.

외교부는 C&K마이닝이 다이아몬드 개발권을 획득한 다음날인 지난해 12월 17일 관련 사실을 보도자료로 만들어 배포했고, 외교부 모범사례집에도 이를 큰 성과로 묘사했다. 외교부 국제경제국장은 지난 1월 12일 브리핑에서 C&K마이닝의 부가가치 창출이 300배 이상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에 따라 정부 부처들이 C&K마이닝을 적극 지원했던 이유, 박 전 차관과의 연관성 등이 풀어야 할 숙제로 떠올랐다. C&K인터내셔널 관계자는 “민원이 많이 들어와 금감원에서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공식적으로 조사받은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이어 “자사주 매각은 회사의 경영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정상적으로 진행했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