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응급실 절반 이상 시설·장비·인력 태부족
입력 2011-06-12 18:41
국내 응급의료기관의 절반 이상이 기본적인 시설·장비와 인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12일 ‘2010년 응급의료기관 평가결과’를 발표했다. 평가 대상은 응급센터 또는 응급실을 운영하는 의료기관 463곳이다. 권역응급센터 16곳, 전문응급센터 4곳, 지역응급센터 117곳, 지역응급기관 326곳이다. 전체 응급의료기관의 51.8%(240곳)가 기본적인 시설과 장비, 인력 등 필수영역 평가를 충족하지 못했다. 권역응급센터의 12.5%(2곳), 지역응급센터의 18.8%(22곳)가 기준 미달이었다.
특히 병원과 의원급인 지역응급기관의 필수영역 미충족률은 65.3%에 달했다. 전담의사 2명을 둬야한다는 기준을 지키지 못한 게(83.6%) 주요 원인이다. 의료기관 소재지가 읍·면인 67개 농어촌 지역응급기관 중 전담의사 기준을 못 채운 곳은 51곳(76.1%)에 달했다. 도시 지역응급기관의 전담의사 미충족률 49.4%보다 훨씬 높다.
복지부 관계자는 “2009년 필수영역 미충족률은 60%였다”며 “지난해부터 미충족 의료기관에 응급의료기금을 지원하지 않기로 하면서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응급센터 이상 급 137곳을 대상으로 진행된 응급의료의 질 평가(6개 분야)에서는 대부분의 평가지표에서 목표치가 달성됐다. 그러나 권역응급센터는 급성심근경색증, 뇌혈관질환, 중증외상 등 3대 중증응급질환자의 응급실 재실 시간이 3.9시간으로 목표치(3시간 이내)에 미흡했다. 중증응급질환자 입원율도 78.7%로 90% 이상인 목표치에 크게 못 미쳤다. 지역응급센터의 중증응급질환자 입원율은 75.3%로 더 낮았다.
복지부는 필수영역 평가를 충족하지 못한 의료기관 240곳과 의료의 질 평가 하위 20%(47곳)는 올해 응급의료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했다. 반면 평가 성적이 우수한 176곳에 올해 202억원의 보조금이 지원된다. 기관 당 최대 3억원까지 지급되고, 응급실 운영비나 전담 인력 인건비 등에 쓰인다.
김정현 기자 k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