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아파트 천안이 최다 59%는 준공후 ‘불 꺼진 집’

입력 2011-06-12 18:20


국민일보, 국토부 통계사이트 통해 전국 230개 시·군·구 분석

이른바 ‘불꺼진’ 아파트(준공후 미분양 가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충남 천안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준공후 미분양 가구 10곳 중 7곳은 중대형(85㎡초과)인 것으로 집계됐다.

본보가 12일 국토해양부 통계정보 사이트인 ‘국토해양 통계누리’를 통해 ‘전국 미분양아파트 현황(4월말 기준)’을 전국 230개 시·군·구별로 분석한 결과, 천안(4864가구)이 가장 많았다. 경기 용인(4670가구) 및 고양(4605가구), 대구 달서구(4245가구), 경북 포항(3539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건축이 끝난 준공후 미분양 가구 역시 천안이 3219가구로 최다였다. 천안 지역에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은 이유는 2008년 분양가 상한제 도입 이전에 건설사들이 천안 지역에 신규 물량을 대거 쏟아냈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전국의 미분양 물량(7만2232가구) 중 59.4%(4만5가구)를 차지하는 준공후 미분양의 경우, 건설업계의 ‘시한폭탄’이 되고 있다. 서울에 본사를 둔 한 중견건설사 임원은 “준공후 미분양이 ‘악성’으로 꼽히는 이유는 빈집임에도 불구하고 금융 대출이자 비용을 비롯해 관리비와 수선충당금을 내야하기 때문”이라며 “대다수 건설사들의 경영난을 가중시키는 장본인”이라고 말했다.

악성 미분양 중에서도 ‘악질’이 있다. 85㎡를 초과하는 중대형 물량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악성 미분양 물량 중 중대형은 2만8339가구(70.8%)로 불꺼진 아파트 10곳 중 7곳에 달한다. 이 때문에 건설사들마다 중대형 물량 소진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공격적인 판촉을 통한 할인분양이 대표적이다. 천안을 비롯해 경기 용인 및 대구 수성·달서구 등 악성 미분양이 많이 남아있는 도시마다 최초 분양가에서 10∼20%씩 내린 가격으로 분양에 나서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자금난 해소를 위해 임시 방편으로 미분양 아파트를 전세로 전환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시공사와 계약자(또는 입주자)간 법정 공방이 벌어지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이미 입주한 주민들이 할인분양 제도에 반발, 건설업체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가 하면 미분양가구의 관리비 납부를 둘러싼 갈등과 중도금 반환 소송 등이 빚어지기도 한다.

건설산업연구원 두성규 건설경제연구실장은 “주택경기가 급락하면서 가격 부담이 상대적으로 큰 중대형 미분양 물량은 건설사들의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면서 “이에 대한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업계에서는 현재 시행 중인 ‘미분양 물량의 전·월세 전환’에 대한 업계지원을 늘리거나 중대형 평형대의 내부구조 부분 변경 허용 등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