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사태 일파만파] 정·관계 로비담당 거물 로비스트 검거에 총력

입력 2011-06-12 23:29

부실저축은행에 대한 검찰 수사가 시작된 지 3개월이 지났다. 검찰은 지난 1∼2월 영업 정지된 부산저축은행그룹 계열 5개사 및 삼화, 보해, 도민저축은행 등 8개 저축은행에 대해 동시 다발적인 수사를 진행했다.

가장 덩치가 큰 부산 계열 5개 저축은행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가 맡았고,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는 삼화, 광주지검 특수부는 보해, 춘천지검은 도민 등을 나눠 맡았다. 수사는 3월 본격 착수돼 4∼5월 대주주·경영진 비리 수사와 금융당국의 부실 감독 문제, 6월 정·관계 로비 의혹 등의 흐름으로 진행됐다. 저축은행 영업정지 전 발생한 특혜 인출 문제 등도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대검 중수부는 지난 3월 15일 부산저축은행 본점 등 12곳을 압수수색한 것을 신호탄으로 4월에 박연호 회장 등 경영진 10명을 구속했다. 지난달 2일 4조5942억원의 불법대출, 2조4533억원의 분식회계 등 405쪽 분량의 공소 사실을 발표한 것까지 1단계 작업으로 볼 수 있다. 검찰은 곧바로 금융감독원의 유착 의혹을 파헤쳐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수년간 월급 형태로 돈을 받아 온 유병태 전 비은행검사국장 등을 구속했다. 부산저축은행 수사는 5월 브로커 윤여성씨, 저축은행 2대 주주 박형선씨 등을 구속하면서 정·관계 로비로 옮겨갔다. 은진수 전 감사위원, 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장 등 굵직한 인사들을 수감시키고, 김종창 전 금감원장도 소환했다.

삼화저축은행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는 신삼길 명예회장, 이광원 대표 등을 구속했다. 또 공성진, 임종석 전 의원이 신 회장으로부터 지인을 통해 억대의 돈을 받은 단서도 포착했다. 다만 삼화의 경우 수사 속도보다는 정치권의 의혹 폭로가 한 발 앞서 나가는 모양새다.

광주지검 특수부는 보해저축은행을 맡아 오문철 대표를 구속한 데 이어 5월에는 저축은행에서 금품을 받은 전·현직 함안군수를 차례로 구속했다. 춘천지검 역시 채규철 도민저축은행 대표를 구속시켜, 영업정지된 8개 저축은행 대표 모두가 감옥으로 보내졌다.

앞으로 수사는 정치권 로비 의혹을 규명하는 데 집중될 전망이다. 중수부는 김광수 원장 이후 피의자로 부른 정·관계 인사가 없어 속도 조절을 하고 있다는 평도 나오지만, 검찰총장이 “수사로 말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본격적인 정치권 수사를 대비한 준비 단계라는 해석이 많다.

서울중앙지검과 광주지검은 모두 잠적 중인 브로커 이철수씨를 쫓고 있다. 이씨는 삼화의 실질적 대주주로 회사 자금을 주물렀고, 보해에서도 수백억원을 불법 대출 받는 등 양쪽 저축은행 수사의 핵심 인물, 지난달 2일 구속영장이 청구되자 잠적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