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 등록금 ‘촛불’ 활활… 동맹휴업 불길은 꺼져

입력 2011-06-11 01:20


‘반값 등록금’을 요구하는 촛불집회가 6·10민주항쟁 24주년 기념일인 10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대규모로 열렸다. 경찰은 5000여명이 참가했다고 추산했고, 주최 측은 2만여명이 모였다고 주장했다. 13일 째 계속된 촛불집회 중 가장 많은 인원이다.

한국대학생연합과 전국등록금네트워크, 민주당·민주노동당·진보신당·국민참여당 등 야4당은 정부와 여당에 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 공약 이행을 촉구했다. 야4당의 손학규 이정희 조승수 대표와 이재정 전 대표 등 야당 정치인들도 대거 참석했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정부가 반값 등록금 공약을 헌신짝처럼 버려 젊은이들이 신용불량자가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학부모들과 여성계, 종교계도 팔소매를 걷었다. ‘반값 등록금 실현을 위한 학부모 모임’은 사과 500여개를 가져와 집회에 참가한 대학생들에게 나눠줬다. 이 단체 회원은 “비싼 등록금을 감당해야 하는 학생들에게 기성세대가 사과한다는 의미”라며 “비싼 등록금은 학생들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투쟁에 동참하기 위해 나왔다”고 밝혔다. 대학생 자녀를 둔 김현갑(52)씨는 “등록금 때문에 대학생들이 빚쟁이로 사회생활을 시작해야 한다는 게 안타까워 동참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국여성단체연합, 전국여성연대 등 여성단체와 일부 기독교 관련 단체들도 집회에 참가했다.

집회는 경찰이 집회금지 통고를 내린 상태에서 진행됐다. 경찰은 서울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과 보신각, 서울파이낸스빌딩 주변, 영풍문고 주변 등에서는 집회를 허용했지만 청계광장, 광화문 KT 사옥 앞, 서울광장 등의 집회는 불허했다. 경찰은 청계광장에 60개 중대 4800여명의 비무장 경찰을 투입했고 간부 전원이 비상대기했다. 이날 촛불집회는 오후 10시30분쯤 종료됐고 집회 참가자들은 청계로를 따라 행진을 벌였지만 물리적 충돌은 빚어지지 않았다. 일부 학생들은 청와대로 올라가는 길목인 청운동 일대에서 기습시위를 벌이다 연행되기도 했다.

한편 반값 등록금 촛불집회를 반대하는 보수단체의 기자회견도 이어졌다. 기독교사회책임 사무총장 김규호 목사는 “정치권이 등록금 인하를 요구하는 국민적 정서를 이용해 촛불집회 등 포퓰리즘적인 방식으로 사회혼란을 부추겨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서울 주요 대학 총학생회도 동맹휴업 투표 결과와 상관없이 촛불집회 현장에 나와 반값 등록금 시행을 촉구했다. 하지만 지난 8∼9일 실시된 동맹휴업 투표 결과 고려대와 서강대, 이화여대는 투표율이 낮아 동맹휴업은 무산됐다. 서강대는 투표 학생이 전체의 3분의 1에 미치지 못했다. 고려대는 3365명(21.94%), 이화여대는 4536명(30.2%)이 투표했다. 숙명여대는 재학생 1만여명 중 3751명만 투표에 참여했지만 그 가운데 3598명(96.4%)이 찬성해 휴업이 결정됐다.

이용상 정부경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