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감리교목회자개혁연대 ‘3대 개혁과제’ 포럼
입력 2011-06-09 20:38
최형근 목사 “감리교 사태 마지막 해법은 총회 해산”
이성우 목사 “지금 개혁 않으면 30년후 큰 위기 직면”
“지금 논의되고 있는 어떤 방법도 감리교의 혼란만 가중시킬 뿐이다. 마지막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은 총회 해산이다.”
전국감리교목회자개혁연대(전감목) 개혁포럼에서 전감목 정책위원장 최형근 목사가 전격 제안한 내용이다. 최 목사는 9일 오후 경기도 화성 협성대 웨슬리관에서 열린 제2회 개혁포럼에서 ‘감리교 사태에 대한 진단과 전망’이라는 주제 발제를 통해 “임시 감독회장을 통한 재선거나 총회는 물리적 충돌이나 법정 소송에 휘말릴 게 뻔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잇단 감독회장 재선거 무효 판결에 이어 지난해 8월에 열린 총회마저 ‘부존재’ 판결이 나온 뒤 일부 연회에서는 연회감독 선거무효소송이 제기됐거나 제기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감독회장 선거나 총회 관련 소송 결과처럼 법원이 감리교 헌법인 장정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결과를 결코 낙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연회감독 선거가 무효로 될 경우 목사안수나 인사, 개 교회 문제 등 감리교는 수습 불가능한 혼란 속으로 빠져들 수밖에 없다는 게 최 목사의 설명이다.
최 목사는 “이런 일이 발생하기 전에 모든 연회 감독들이 한마음으로 스스로 감독직을 내려놓고 총대들은 자신의 총대 자격을 스스로 포기해야 한다”며 “법원에 의해 임명된 임시 감독회장이든 우리가 스스로 선출한 임시 감독회장이든 그의 주도하에 입법위원회를 만들고 개혁입법을 통해 감리교를 완전히 새롭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목사는 또 “총회 해산은 지금까지의 수치와 혼란에 대해 모든 감리교인에게 드리는 백배 사죄의 의미”라며 “직접선거제도, 김국도 목사의 피선거권 문제 등 모든 걸 논의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밖에 김명섭 강릉예향교회 목사는 “기존 원로원화 된 입법총대제도를 젊은이와 여성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는 입법총대 직선제로 개정하는 일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조경열(전감목 운영위원장) 목사는 “직전제와 함께 제비뽑기 방식을 결합하는 것도 금권·파벌선거를 막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감리교 사태로 인해 감신대 졸업생 5명 중 1명이 독립교단으로 가고 있다고 밝힌 이성우(감신대 종교사회학 박사과정) 목사는 “감리교의 개혁은 생존과도 직결된 문제”라며 “지금 감리교가 바뀌지 않는다면 30년 후 감리교는 큰 위기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감목은 오는 16일 실무자 수련회를 갖고 감독제도, 선거제도, 의회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개혁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화성=글·사진 김성원 기자 kernel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