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비리] 프라임저축銀 수사 착수… 놀란 예금주들 하룻새 평소 10배 빼내가
입력 2011-06-08 22:06
부산·삼화 등 영업정지된 저축은행뿐 아니라 정상영업 중인 프라임저축은행으로까지 검찰 수사의 불똥이 튀고 있어 시장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8일 프라임저축은행 예금자들의 뱅크런(대량 예금인출) 조짐까지 나타나자 금융당국은 긴급히 상황 파악에 나서는 등 긴장감 속에 분주히 움직였다.
검찰과 프라임저축은행을 지난 3월 고발한 금융감독원은 이번 사안이 부산저축은행 수사와는 성격이 다르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검찰은 초과대출 혐의가 파악돼 대주주에 대해 취한 통상적인 고발이지 부산저축은행처럼 특수목적법인(SPC)을 활용한 수천억원대 거액 대출 비리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12월 프라임저축은행 측이 700억원대 초과대출 및 전환대출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쌓지 않은 데 대해 외부 감사인 지정 및 증권발행 제한 조치를 취하기도 했으나 이번 검찰 수사는 이 건과는 별개라고 설명하고 있다.
프라임저축은행 관계자도 “초과대출 등에 대한 금감원의 지적을 받아 현재 시정 조치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프라임저축은행은 총수신 1조3520억원으로 예금인출 수요에 대비해 1800억원 정도의 유동성을 확보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고객들은 이날 서울 지역 5개 지점에 몰려들거나 인터넷뱅킹을 통해 평소 10배가 넘는 500억원가량을 인출했다.
저축은행 측은 “언론 보도가 사실과 다르다”는 반박 자료를 붙이며 고객 동요를 막으려 했지만 몰려드는 고객들에 당황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서울 구의동 테크노마트 지점을 찾은 직장인 서모(43·여)씨는 “안 그래도 저축은행 사태 때문에 불안했었는데 검찰이 수사한다고 하니 이번에 미련 없이 정리하려고 왔다”고 말했다.
이번 비리 건은 5월 초 불거졌던 업계 3위 제일저축은행의 600여억원 대출비리 수사 때와 유사해 보인다. 당시 검찰이 개인 비리에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음에도 이틀 새 1800억원이나 인출돼 금융당국이 예금자들을 상대로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사태 진화에 나섰다. 제일저축은행 측도 저축은행중앙회를 통해 2000억원을 단기 차입하기도 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프라임저축은행에) 필요하면 유동성 지원도 하겠다”면서 “지금은 시장이 안정돼야 하는 시점이고 과도한 예금인출 사태가 없으면 추가 영업정지는 없다”고 강조했다.
프라임저축은행은 프라임그룹(회장 백종헌)의 지주회사격인 프라임개발이 대주주이며, 지난해 말 기준으로 1조5000여억원의 자산을 가진 업계 17위 저축은행이다. 당기순손실은 3월 말 현재 551억원으로 지난해(147억원)보다 크게 악화됐다.
이동훈 강준구 기자 d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