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동포 이산가족 상봉 킹 특사 방북때 논의
입력 2011-06-08 18:28
로버트 킹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지난달 말 방북 때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제기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국무부 고위관계자는 7일(현지시간) “킹 특사가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을 비롯한 북한 당국자들에게 인권 개선을 촉구했으며, 여기에 이산가족 관련 문제도 포함됐다”고 밝혔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했다.
고위 관계자는 또 “미국에 사는 한인 이산가족이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을 만날 수 있도록 미국 정부가 노력하고 있다”면서 “이들의 상봉 문제는 킹 특사의 주요 업무”라고 말해 국무부가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다루고 있음을 시사했다.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 수는 1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미국과 북한의 적십자사를 통해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공화당의 마크 커크 연방 상원의원은 빠르면 이번 주 중 미국 적십자사가 북한 적십자사에 가족상봉 문제를 직접 협상토록 공식 촉구할 예정이다.
킹 특사가 이산가족 문제를 제기하면서 양국 정부 간 가족상봉 문제를 매개로 인권 논의가 확대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계기로 자연스레 북·미 간 대화가 이뤄질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남북관계 개선이 먼저 이뤄져야 북·미 관계가 진전될 수 있다는 게 미국 정부의 확고한 원칙이다. 따라서 한국이 배제된 북한 인권문제 대화는 다소 비현실적이라는 지적도 많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