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최첨단 스마트 도시 서울’… 공공시설 796곳서 ‘와이파이’ 무료 사용
입력 2011-06-08 14:56
2015년 서울에서는 무선 인터넷(와이파이)을 이용하기 위해 커피전문점을 찾을 필요 없이 시내 모든 주민센터에 깔려 있는 무료 와이파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집이나 사무실에서도 손쉽게 각종 증명서를 발급받고 세금을 납부할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와이파이 인프라를 확대하고 모바일 행정 서비스를 강화하는 내용의 ‘스마트 서울 2015’를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시는 2015년까지 시 본청과 자치구, 주민센터 등 공공시설 796곳에 와이파이를 단계적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주민센터로부터 반경 50∼200m까지는 무료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와이파이와 달리 행정용 와이파이를 구축해 시민에게 무료로 제공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시는 또 2014년까지 각종 증명서 발급과 지방세 납부를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체육·문화시설 예약 및 확인, 위험상황 실시간 전파, 민원처리 상황 통보 등 행정 업무도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시와 자치구 25곳으로 나뉜 교육, 체육시설, 문화관광, 진료 등 3만여개의 공공서비스 예약 업무도 2015년까지 한 곳으로 통합돼 인터넷으로 가능하게 된다. 시는 공공서비스 인터넷 예약률을 현재 26%에서 85%로 확대, 연간 240만명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보호자가 자녀의 위치를 인터넷으로 확인할 수 있는 ‘u-어린이 안전서비스’는 현재 시내 초등학교 7곳에서 587곳으로 확대된다. 시는 시내에 설치된 CCTV 1만여대를 방범·도시안전에 활용, 범죄 발생률을 10% 이상 줄인다는 목표도 세웠다. 상암동 IT콤플렉스에는 인큐베이터센터가 구축돼 스마트 정보·보안업체 50곳 등이 시 지원을 받게 된다.
시는 이와 함께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한 공공정보의 35%를 공개, 시민들이 각종 비즈니스에 활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시는 공개되는 정보의 경제적 가치가 1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시는 이밖에 고령자와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2015년까지 연간 20만명씩 모두 100만명에게 스마트 기기 활용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아울러 2015년까지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전문가 1만명을 양성하는 등 애플리케이션 산업을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