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웅전 “권력형 비리 수사 중수부 없인 불가”

입력 2011-06-07 18:14

성향이 판이하게 다른 군소정당 대표들이 7일 국회에서 일제히 비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했다. 각기 현안에서 목소리를 내며 거대정당의 틈새시장을 노렸다.

제3당인 자유선진당의 변웅전 대표는 검찰 편에 서서 대검 중수부 존치를 주장했다. 그는 “저축은행 비리 의혹이 한나라당과 민주당 의원들에게 집중되고 있는 이 시점에 왜 대검 중수부 검사들의 수사를 중단하게 만드느냐”며 “중수부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철저한 수사를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변 대표는 “권력형 비리 수사는 정치적 외압이 없어야 하며 지금껏 고위공직자 93명을 기소한 것은 중수부이기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저축은행 사태와 관련한 국회 국정조사특위 구성에 대해 “특위 18명 중 15명을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차지하면 태산명동서일필(泰山鳴動鼠一匹·태산이 요동하게 하더니, 뛰어나온 것은 쥐 한 마리뿐이라는 뜻) 외에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느냐”며 “허물이 있는 자들이 허물을 덮으려고 하는 국정조사는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는 격”이라며 비판했다.

친박근혜 계열인 미래희망연대 정하균 최고위원은 국회, 정부, 국민대표 및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복지국가기획위원회’(가칭) 구성을 제안했다. 그는 “무상복지 논쟁과 함께 각종 복지정책이 경쟁적으로 나오는 건 반가운 일이지만, 복지예산의 증액 노력도 없이 새로운 대책만 마구 쏟아내는 것은 인기에만 영합한 돌려막기 놀음밖에 안 된다”고 지적했다.

세 번째로 등단한 민주노동당 이정희 대표는 경북 왜관 캠프 캐럴의 고엽제 매립 의혹과 관련, “주한미군의 고엽제 매립범죄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진상조사위원회를 국회에 설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진상조사위는 모든 미군기지 환경오염의 실태를 낱낱이 밝혀야 한다”면서 “환경·생명 주권을 지키기 위해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의 환경조항 등도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서도 “전면적 재협상이 없는 한 국회 비준(동의)을 반대한다”고 못박았다.

김원철 기자 won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