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주택종합계획 발표… 2020년까지 주택 72만가구 공급
입력 2011-06-07 21:53
서울시가 2020년까지 모두 72만 가구의 주택을 공급하는 내용의 ‘2020 서울 주택종합계획’을 내놨다.
2020년까지 주택 수요가 67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예측, 저소득층을 위한 임대주택 20만 가구를 공급하는 방안을 포함한 장기적인 주택 정책을 세운 것이다.
시는 이 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멸실로 인한 대체 공급분 37만 가구, 신규 공급분 35만 가구 등 72만 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사업별로는 정비사업으로 34만 가구, 보금자리주택 등 택지 개발로 11만 가구, 도시형 생활주택 등 일반 건축으로 27만 가구가 공급된다. 계획대로 추진되면 주택보급률은 2010년 말 기준 92.7%에서 95%로 높아진다.
시는 장기전세주택(시프트) 등 공공임대주택을 2020년까지 연평균 2만 가구씩 20만 가구를 공급, 모두 36만 가구를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5%인 공공임대주택 비율도 경제협력개발기구 수준(11%)에 근접한 10%까지 높이겠다는 것이다.
시는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바우처’도 2020년까지 현재 8200가구에서 5만 가구로 확대하기로 했다. 주택바우처는 가계소득이 최저생계비의 120% 미만인 가구와 최저생계비 150% 이하 가운데 장애인, 국가유공자, 한부모 가구에 매월 4만3000∼6만5000원을 지원하는 것이다.
시는 또 정비사업구역 내 저소득 세입자를 위해 2015년까지 순환용 임대주택 5000가구를 확보할 방침이다. 2020년까지 휴먼타운을 자치구별로 4곳씩 모두 100곳에 조성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휴먼타운은 기존의 저층 주거지에 주차장, CCTV, 공원 등 보안·편의시설을 갖추도록 한 주거단지다.
시에 따르면 앞으로 10년간 시내 주택 수는 328만 가구에서 363만 가구로, 1∼2인 가구는 154만 가구에서 180만 가구로 증가할 전망이다. 김효수 시 주택본부장은 “향후 10년간 집값은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며 “자가와 월세의 비중은 증가하겠지만 전세 비중은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 ‘주상복합건물의 계획적 관리방향’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10년 상반기까지 시내 상업지역에 주상복합건물이 193동, 4만2000가구가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들 주상복합건물이 학교·도로 등 기반시설의 과부하를 초래하는 데다 주택 공급 효과도 제한적이고 일조권 분쟁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