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호국선열 예우와 교육은 국가의 기본

입력 2011-06-06 17:43

어제는 56회 현충일이었다.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선열들을 추모하고 그 숭고한 뜻을 물려받을 것을 다짐한 날이었다. 이명박 대통령은 추념사를 통해 “애국선열을 기리는 것은 국가통합의 초석”이라고 강조하고 “정부는 보훈제도 선진화로 나라를 위한 희생과 공헌에 합당한 보상과 예우를 다하겠다”고 밝혔다. 새삼스럽지만 지극히 당연한 말이다. 피 흘려 나라를 지킨 호국선열들이 없었더라면 오늘의 우리도 없다. 이 대통령의 약속이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이유다.

애국이나 호국, 순국 같은 말만 나와도 시민의 권리와 자유를 억압하는 국가주의의 망령이라며 질색하는 이른바 진보파와 나라보다 민족 지상주의를 외치는 좌파도 있지만 국가 없는 시민, 민족은 허구다. 국가가 없어 수천년 동안 박해와 설움을 받아온 유대인들을 보라. 대한민국을 잃고 북한의 ‘인민’이 돼버린 남쪽 ‘시민’의 모습을 상상해보라. 국가는 시민과 민족의 방패이고, 그런 국가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호국선열 숭모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호국선열들에 대한 우리 사회의 예우는 그간 미흡했다. 6·25 때 전사한 국군 유해 발굴만 해도 그렇다. 당시 목숨을 초개같이 던져 누란의 위기에 봉착한 국가를 구했으나 유해를 찾지 못한 국군은 13만명에 이른다. 그런데도 발굴작업이 시작된 것은 겨우 11년 전인 2000년이었다. 다행히 그 후 유해발굴사업이 영구 국가사업으로 전환돼 2007년 국방부에 유해발굴감식단이 만들어졌지만 2000년 이후 지금까지 찾아낸 유해는 4698구에 불과하다. 호국영령들이 안식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아울러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자라나는 세대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다. 국가보훈처 조사에 따르면 10, 20대의 현충일 의식지수는 5점 만점에 각각 3.81, 3.98점에 지나지 않았다. 현충일의 의미를 모르는 젊은 세대가 많다는 것은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 대통령도 추념사에서 “미래 세대가 역사를 올바로 알아야 더 큰 대한민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듯 바른 교육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