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년 日 간 총리 “늦어도 8월엔 물러난다”

입력 2011-06-05 21:38

4일로 취임 1주년을 맞은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가 내각불신임안 부결을 이끌어내며 기사회생하기는 했지만 남은 임기는 길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언론들은 간 총리가 이르면 6월 중, 늦어도 8월까지는 퇴임해야 할 것이라고 5일 보도했다. 하지만 간 총리의 후임도 확실치 않아 전후 최대 위기를 겪고 있는 일본의 리더십 공백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간 총리는 4일 밤 이시이 하지메(石井一) 민주당 선거대책위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부흥기본법과 2011년도 2차 추가경정예산 등을 언급하며 “(내가) 처리하겠다”고 말했다고 아사히신문이 보도했다. 부흥기본법은 이르면 6월 중순에 국회를 통과할 전망이며, 2차 추경예산은 8월 전후에 처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간 총리는 지난 2일 퇴임 시기를 내년 1월쯤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러나 당내에서 조기 퇴진을 요구하며 총리를 비판하자 ‘늦어도 8월’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전 총리와 오자와 이치로(小澤一郞) 전 민주당 간사장은 간 총리의 조기 퇴진을 요구하는 당내 세력을 결집해 민주당 의원총회를 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자민당 등 야당 역시 간 내각을 상대로 2차 추경예산을 논의하지 않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물밑에서는 간 총리의 조기 퇴진을 전제로 한 여야 협상 및 차기 총리 선출 논의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센고쿠 요시토(仙谷由人) 전 관방장관은 4일 오시마 다다모리(大島理森) 자민당 부총재와 만나 간 총리의 조기 퇴진을 전제로 한 국회 일정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언론들은 지도력을 상실한 간 총리도 문제지만, ‘포스트간’ 역할을 할 인물이 없다는 게 더 큰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총리 후임으로는 마에하라 세이지(前原誠司) 전 외무상, 에다노 유키오(枝野幸男) 관방장관,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재무상이 꼽힌다. 요미우리신문은 “누가 총리가 되더라도 지진 복구 대책 및 원전 사고 수습, 다른 정책들에 대한 협의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양지선 기자 dyb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