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6월 7일 의총서 ‘전대룰’ 뒤집나… 비대위 결정 ‘여론조사 폐지·1인1표제’ 반발 확산
입력 2011-06-06 00:48
한나라당 새 대표를 뽑는 ‘7·4 전당대회’를 앞두고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 2일 경선 규칙을 정했지만 당내 잡음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여론조사를 반영하지 않고 1인 1표제를 실시키로 바꾼 게 논란의 핵심이다. ‘민본21’ 등 당내 소장파 모임은 “전대가 조직선거, 줄세우기 경선으로 전락할 수 있다”며 정의화 비대위원장의 사퇴까지 요구하며 반발했다. 수도권 한 초선 의원은 5일 “현행 1인 2표제의 경우 한 표는 계파 후보자에게, 나머지 한 표는 소신 투표가 가능해 계파색이 옅어질 수 있으나 1인 1표제는 계파·조직 투표가 될 우려가 높다”며 “특정 계파, 즉 의원 수와 당협위원장 수가 많은 친이명박계 후보에게 유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유력 당권주자들도 반발에 동참했다. 홍준표 의원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여론조사 폐지는 민심과 동떨어진 지도부를 만들겠다는 책략으로 반개혁적이자 시대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남경필 의원도 “당이 변해야 한다는 취지로 기존 지도부가 물러났는데 자꾸 당의 논의가 기존 질서를 유지시키려는 방향으로, 구태로 회귀하려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 비대위원장은 이날 논평을 통해 “정략적 유·불리를 전혀 계산하지 않은 결정이었다”고 반박했다. 그는 “과거 1인 2표제의 실상은 계파별 합종연횡으로 나눠먹기 투표였다”며 “조직이 강한 후보가 고스란히 1등을 차지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1인 1표제를 도입하고 선거인단 규모를 21만명으로 늘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선거인단이 대폭 늘어나 굳이 여론조사를 할 필요는 없다”며 “당원들이 그들의 지도부를 결정해야 하는데 무조건 여론조사를 실시하자는 주장은 당원들의 자기결정권을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대 규칙은 7일 전국위원회에서 확정된다. 100명 이내로 구성된 상임전국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친 뒤 위원 수가 1000명 내외인 전국위원회를 통과해야 한다. 당 지도부는 비대위 결정에 반대하는 쇄신모임인 ‘새로운 한나라’의 요구로 7일 오전 의원총회를 열기로 했다. 의총은 비대위의 전대 룰을 고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여서 신·구주류의 2차 충돌이 예상된다. 신·구주류는 이미 ‘당권·대권 분리’라는 전대 규칙을 놓고 격돌한 바 있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의원들의 얘기를 들어본 뒤 판단하겠다”고 밝혀 의총 논의 결과에 따라 비대위 결정이 번복될 가능성도 있음을 내비쳤다.
한장희 유성열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