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역할론’ 공감대… 당내외 행보 빨라질 듯
입력 2011-06-03 21:44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3일 청와대 회동에서 ‘박근혜 역할론’과 관련해 이명박 대통령과 일정 정도 교감을 나눔으로써 향후 보폭도 넓어질 전망이다.
박 전 대표는 현재 당이 처한 위기상황을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자신의 구체적인 역할을 거론했다. ‘민생 문제 해결과 국민의 신뢰 회복을 위해 진정성을 갖고 노력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이 대통령 역시 수긍하며 “꼭 그렇게 힘써 달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는 그동안 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방해를 줄 수 있다는 판단 때문에 행보를 자제해 왔던 박 전 대표에게 새로운 정치적 공간을 열어준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 전 대표가 교육과 복지 등 민생 관련 정책 행보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 조심스레 나온다. 박 전 대표는 그동안 대학 등록금을 비롯해 복지 사각지대 문제 등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기울여왔다. 이날 회동에서도 박 전 대표는 저소득층 문제와 관련, “구조적으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국민이 많다”며 “국가가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 한다”고 건의했다고 한다. 그동안 친박근혜계 의원들 사이에서는 박 전 대표가 청년실업 문제부터 보육, 교육 등 한나라당이 취약한 20∼40대 서민생활과 관련된 정책 행보를 하고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구체적인 활동 방식과 관련해 박 전 대표는 “당직이 아니더라도 저 나름대로 노력해 나가면 된다”고 말했다.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지금 어떻게 구체적으로 날짜까지 박아 말씀드리겠느냐”고 웃어 넘겼다.
이번 회동은 ‘정권 재창출을 위해 같이 노력한다’는 큰 틀의 합의를 했던 지난해 8·21회동을 재확인한 데 그치지 않고 한 발짝 더 나아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향후 여권 내부 역학구도에도 적잖은 변화가 예상된다. 박 전 대표는 이날 회동에서 친이명박계나 친박계 등 계파에 대한 얘기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대신 당내 문제와 관련해 ‘통합으로 가야 한다’ ‘하나가 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앞서 황우여 원내대표 등 새 지도부와의 회동에서 이 대통령이 ‘친이, 친박 계보는 없어야 한다’고 말한 것에 대한 일종의 ‘화답’으로 향후 당내 화합 행보를 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