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남과 비밀접촉 공개이후] 북한의 다음 수순은…‘금강산관광 재개’ 압박?
입력 2011-06-03 00:42
북한 국방위원회가 남북 비밀접촉 사실을 공개하고, 남측과 대화 단절 의지를 분명히 하면서 천안함 사태 이후 이어져온 남북 대결 구도가 한층 심화될 전망이다.
북측은 연일 대남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대남 선전 웹 사이트인 ‘우리민족끼리’는 2일 국방위 대변인 대답과 관련, “북남관계를 최악의 사태로 몰아넣은 극악한 반공화국 대결 광신자들에게 가해진 단호한 징벌”이라고 주장했다.
정부 쪽에서는 북한의 이런 행태가 중국에 대한 불만을 표출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정부 고위소식통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지난달 20∼26일 중국을 방문했다”며 “당시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과 만났는지 여부를 공식 확인할 길이 없으나 여러 가지 입수된 첩보들과 정황을 종합해봤을 때 만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김 위원장으로서는 장 전 주석을 만나지 못한 데다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와의 회동에서 북·중 경협문제가 희망하는 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 측이 남북 비핵화 회담에 나서라고 설득하자 그에 대해 불만을 느끼고 있을 개연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현대그룹이 보유한 금강산 관광 독점권을 제한하는 ‘금강산 국제관광특구법’이 제정됐다고 보도했다. 지난 4월 말 북한이 금강산국제관광특구를 독자적으로 신설해 주권을 행사키로 했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금강산 지구를 통한 외화벌이에 북한이 직접 나서면서 남측의 금강산 관광 재개를 압박하기 위한 수순으로 보인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측의 향후 행보와 관련, “북측이 비밀접촉 내용을 공개한 마당에 당장 조치를 취할 것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새로운 카드로 분위기 반전을 꾀하기 어려운 만큼 현 상황을 관리하는 데 치중할 방침이다. 따라서 당분간 남북 양측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상호 비방전에 열을 올리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한반도 긴장을 더 고조시키기 위한 군사적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