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기지 고엽제 파문] 한·미, 레이더 탐지깊이 이견… 한때 착수 지연
입력 2011-06-02 21:27
한·미 공동조사단이 2일 경북 칠곡 미군기지 캠프 캐럴의 고엽제 매립 의혹을 밝히기 위해 기지 내부 조사에 착수했다. 한국 측 14명, 미군 측 10명으로 구성된 공동조사단은 매립 의혹이 제기된 헬기장과 41구역, D구역 부근을 우선 조사한 뒤 신빙성 있는 추가 정보가 있으면 기지 내 다른 지역도 공동 조사키로 했다.
출발은 순탄치 않았다. 양측은 지표투과레이더(GPR)의 탐지 깊이를 정하는 문제 등에서 의견이 엇갈려 조사 착수가 2시간 정도 지연됐다. 세라 우 미 극동공병단 환경과장은 “GPR은 지하 5∼6m를, 전기비저항탐사법(ER)은 지하 10∼15m를 탐지할 수 있다”며 “GPR이 투과되지 않는 장소는 탐지할 수 없어 ER을 보충적으로 사용키로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장세호 칠곡군수는 “조사지역인 D구역은 복토를 했다고 알려진 만큼 매립지점이 장비의 탐지 깊이를 벗어날 수 있다”며 “주민들이 신뢰할 만한 조사를 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결국 존 존슨 미8군 사령관이 “공동조사단의 첫 조사 이후 다른 방법으로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추가 조사를 실시할 것”이라며 “한국 장비의 기지 내 반입에 대해서도 제한을 두지 않겠다”고 언급하며 절충점을 찾았다. 미군 측은 “조사 후 유해한 결과가 나오면 반드시 정화조치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조사단은 오는 21일까지 헬기장 조사를 끝내고, D구역은 오는 15일부터 조사를 시작해 다음 달 7일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미군 측은 1만4400㎡에 달하는 헬기장의 레이더 조사에만 4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레이더 조사로 매몰 여부를 가려내면 매몰지의 토양과 지하수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다. 시료 분석과 결과 확정에도 최소 2주 이상의 시간이 필요해 최종 결론은 이르면 다음 달 중순쯤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기지 내 D구역에 묻혀 있던 화학물질을 해외로 반출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 존슨 사령관은 “과거 캠프 캐럴에 있던 화학물질이 어디로 갔는지는 아무 정보가 없다”며 “한국 밖으로 나갔는지도 아직 모른다”고 말했다.
한편 또 다른 발암물질 매몰 의혹이 제기된 옛 미군기지인 경기도 부천의 캠프 머서에 대해서도 민·관·군 합동조사가 시작됐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