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청렴·공정’ 다시 외치며 반전 모색하나

입력 2011-06-01 18:22

이재오 특임장관이 1일 ‘침묵 모드’를 깨고 입을 열었다. 4·27 재·보궐 선거에서 한나라당이 패한 후 한 달여 만이다. 꺼내든 주제는 ‘청렴과 공정’이었다.

이 장관은 이날 오전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경밀레니엄포럼 특강에서 “모든 사람들이 복지가 (시대)과제라고 얘기하는데 저는 청렴, 공정이 시대과제라고 생각한다”며 “정치인들과 공직자들은 저축은행 사태를 계기로 정치 개혁과 청렴·공정사회를 만드는 원년으로 만들어야겠다는 것을 각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무위원과 청와대 비서진은 자기 개인의 잘잘못을 떠나 국정 전반에 대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줄기차게 외쳐왔던 ‘청렴과 공정’ 문제를 다시 제기하자, 정치권에선 저축은행 사태를 계기로 재보선 패배 이후 수세에 몰렸던 이 장관이 반전을 모색하고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됐다. 공교롭게 이 장관과 친분이 두터운 장제원 권택기 원희목 의원 등 친이명박계 의원 16명이 이날 저축은행 특검법안을 국회에 제출하는 등 이번 사태에 정공법으로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 장관의 한 측근은 “현 정부 성공을 위해 좌고우면하지 않는다는 게 이 장관의 생각”이라며 “저축은행 사태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지, 정치적 의도가 담긴 말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장관은 7·4 전당대회 불출마 방침을 분명히 하며, 당분간 여의도 정치와 거리를 두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하지만 당의 근본적인 개혁을 주문하는 등 당내 현안에 대해서는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전대 출마 후보가 금품사용 일절 금지, 후원회 제도 폐지, 현역 의원과 원외 위원장의 전대후보 캠프 참여 금지 등을 선언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장관은 대학등록금 부담 완화 등 새 원내지도부의 ‘좌클릭 정책’에 대해 “지금 당직을 맡은 사람들이 개인적인 얘기를 하는 것이고, 최고위원 구성 전까지 한 달간 당을 운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좌편향, 우편향이라고 평가하는 것은 이르다”고 말했다. 또 원내대표 경선 이후 자신을 비롯한 친이계가 구주류로 불리는 것과 관련, “당에 주류와 비주류가 있는 것은 맞지만 대통령 임기가 2년이나 남았고 대통령 성공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이 과연 구주류냐”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3일 회동에 대해서는 “유럽 특사 활동 보고 이외의 다른 정치적 의미를 낳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오히려 당에 더 큰 혼란을 불러올 것”이라며 “특사 활동 보고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원내대표 경선 이후 접었던 트위터 활동도 이날 오후 재개했다. 또 오는 11일 자신의 지지세력인 재오사랑·조이21 등 회원 3000여명과 단합대회를 겸해 충남 천안 흑성산을 오르며 조직 정비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한장희 김나래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