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진보신당, 이르면 9월 합당
입력 2011-06-01 18:23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이 이르면 9월 당을 합친다. 2008년 2월 갈라선 지 3년6개월 만이다. 민노당 이정희, 진보신당 조승수 대표 등 12개 당·시민사회단체 대표는 전날부터 1일 새벽까지 회의를 연 뒤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새 통합정당 정책 합의문을 발표했다.
통합 최대 걸림돌이었던 북한에 대한 입장차는 “6·15 정신에 따라 북의 체제를 인정하고 ‘북의 권력 승계 문제는 국민 정서에서 이해하기 어려우며 비판적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견해를 존중한다”고 정리했다. 가장 관심을 끄는 야권통합과 관련해 이들은 합의문에서 “2012년 총선·대선에서 진보정치의 핵심 정책에 대한 가치 중심 정책연대와 선거연대를 추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양당이 합의문에서 ‘야권통합’보단 ‘선거연대’를 원칙으로 밝힌 점이 야권통합 논의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심이 쏠린다. 이 대표는 “민주당과의 통합은 논의되지 않았다. ‘선거연대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정도가 현재 입장”이라고 말했다.
민주당과 국민참여당은 일단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이용섭 대변인은 “오늘의 합의가 민주진보 진영의 대통합으로 발전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밝혔다. 참여당 이백만 대변인도 “진보통합, 더 나아가 야권통합은 시대의 흐름이자 대의다. 참여당은 이 흐름을 거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각각 17∼18일과 26일 열리는 전당대회에서 합의문을 추인할 예정이다. 이후 9월 최종 통합을 목표로 당 지도부 구성과 공천방식 등에 대한 실무 협상이 시작된다.
양당 모두 합의안이 추인되려면 대의원 3분의 2 이상이 동의해야 한다. 그러나 북한 문제에 대한 입장을 절충한 문구 때문에 전당대회를 통과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있다. 진보신당 관계자는 “북한에 대한 입장을 합의한 문구를 보면 앞부분은 ‘북한 체제 인정’이고 뒷부분은 ‘3대 세습 반대’다. 억지로 만든 문장이다. 민노당, 우리당 모두 추인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복지국가 단일정당론을 주장하고 있는 진보신당 내 ‘복지국가 진보정치연대’는 이날 긴급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합의문은 북한 정권의 3대 세습 반대를 명문화한 3·27 당 대회 결정을 정면으로 거스르고 있다”며 조승수 대표와 노회찬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추진위 위원장은 당직에서 물러나라고 주장했다. 조 대표는 “죽을 힘을 다해 당원들을 설득하겠다. 낙관도 비관도 하지 않겠다. 당원들의 올바른 판단을 믿는다”고 말했다.
김원철 기자 won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