他종목도 루머 무성… ‘승부 조작’ 없다고 단정못해

입력 2011-06-01 19:41

K리그에서 촉발된 승부조작 사건과 관련, 축구를 제외한 3대 프로스포츠(야구 농구 배구)는 표면적으로 “종목 특성상 승부조작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이전에 승부조작이 적발된 사례가 적지 않아 각 협회와 구단은 이번 사태의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내 최고 인기 스포츠인 프로야구에서는 2008년 11월 당시 LG의 김재박 감독이 ‘사인 거래’를 폭로하면서 승부조작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김 감독은 당시 “프로야구계에서 타자에게 사인을 알려주는 선수가 꽤 있다고 들었다. 올 시즌이 끝난 뒤 몇몇 심판이 내게 그런 이야기를 전했다”고 밝혔다. 이에 마해영(당시 엑스포츠 해설위원)씨가 “선수 간 사인 거래는 일부 사실”이라고 주장해 스포츠계에 큰 파장을 낳았다.

프로농구에서는 2006년 5월 이번 K리그 사건과 같은 ‘스포츠토토’ 문제로 한 차례 홍역을 치른 적이 있다. 당시 원주 동부 소속이었던 양경민 선수는 자신이 출전한 프로농구 경기의 스포츠토토를 구입했다가 36경기 출장정지라는 중징계를 받았다. 프로농구는 특히 심판에 의한 승부조작 논란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몸싸움이 치열한 농구의 특성 때문에 심판의 휘슬 하나로 경기 흐름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시즌에는 “심판이 특정 고교 출신 감독이 있는 팀에 일방적으로 유리한 판결을 내린다”는 등의 루머가 나돌기도 했다. 아마농구의 경우 2007년 소년체전에서 심판의 금품 수수가 드러나 대한농구협회 집행부 7명이 승부조작으로 사퇴하기도 했다.

파문이 계속되자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오는 7일 8개 구단 단장들이 모여 승부조작 문제를 밀도 있게 논의하고 대책도 세울 계획이다. 사실 KBO는 해마다 8개 구단 감독·선수·임직원으로부터 스포츠토토에 가입하거나 베팅을 하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받고 있다. KBO 관계자는 “야구는 워낙 변수가 많고 그만큼 경우의 수가 다양해 승부조작이 어렵다는 게 중론”이라면서도 “승부조작이 야구에 번지지 않도록 구단 차원에서 예방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프로농구연맹(KBL)도 프로축구 승부조작 건이 불거진 뒤 이번 사태를 철저히 경계하라는 지도공문을 각 구단에 보냈다. 한국배구연맹(KOVO)은 프로배구 구단 사무국장들이 1일 회의를 열어 선수와 구단 직원들을 대상으로 승부조작 예방 교육을 하고, 부정행위 근절 노력을 약속하는 내용의 서약서를 받기로 의견을 모았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