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 3개 신학대 한해 졸업생 절반이 실업자… “사역 범위, NGO·사회단체 등으로 확대를”
입력 2011-06-01 17:57
대학 졸업자 2명 중 1명이 실업자라는 청년실업 문제는 신학대도 예외가 아니다. 감신대 협성대 목원대 등 감리교 계열 3개 신학대 졸업자는 한 해 500여명. 그 가운데 사역지를 찾는 사람은 250명가량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실업자 신세인 셈이다. 이 같은 ‘신학생 실업’ 문제는 타 교단도 예외가 아니다.
감신대 총학생회, 감리교 평화행동 등은 31일 오후 감리교 목회자 수급 문제를 짚어보기 위한 포럼을 개최했다. 감신대 웨슬리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포럼의 주제는 ‘신학생 실업시대-우리에게 내일은 없는가’.
우선 감신대 최선 총학생회장은 “소명에 따라 목회자가 될 수 있을 거란 생각으로 신대원에 들어가지만 막상 졸업할 때는 아무 대비도 없이 실업자 신세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다”며 “교단과 학교는 학생이나 합격자 수를 줄이는 게 능사가 아니라 제도적 대비책을 먼저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총학생회장에 따르면 올해 감리교 수련목회자(예비목회자) 선발고시 합격자는 150명으로 지난해 233명에 비해 83명 줄었다. 준회원(목사) 과정고시에도 971명이 응시해 244명이 불합격됐다. 불합격자 비율이 무려 예년의 10배에 달한다. 사역지를 찾는 것은 물론 목회자 되는 것마저 힘든 현실이란 것이다.
이에 대해 감리교본부 함영석 행정기획실장은 “해마다 사역자가 필요한 곳은 약 330개지만 이전 졸업생들까지 지원하기에 정확한 수급 조절이 어렵다”고 해명했다.
감신대 김홍기 총장은 “현직 교수, 의사 등 전문인들이 감신대 신대원에서 공부하고 있지만 목사의 이중직 금지라는 감리교 교리와 장정(헌법) 때문에 타 교단에서 안수를 받고 있는 실정”이라며 총회가 열리면 장정 개정을 공식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KSCF) 김오성 총무도 “현재 성공회나 기장 교단은 공부방, 나눔의 집 같은 사회복지기관을 사역지로 인정해 목회자를 파송하고 있다”며 “감리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감리교 교리와 장정은 현재 NGO나 사회단체 활동은 수련목회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날 패널들과 학생들이 한목소리로 교리와 장정 개정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교리와 장정 개정은 감리교 총회가 열려야 가능한 만큼 감리교 사태가 해결되기 전까지 목회자 수급 문제 해결은 요원해 보인다.
김성원 기자 kernel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