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16명 ‘저축銀 특검법안’ 제출

입력 2011-06-01 22:00

한나라당과 민주당 새 원내지도부의 첫 시험무대인 6월 임시국회가 1일 개회됐다.

이번 국회의 ‘뇌관’은 저축은행 부실 사태다. 당장 2일부터 시작되는 대정부 질문에서부터 여야는 이번 사태의 원인과 책임소재를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은 전 정권에서 신용금고에 ‘저축은행’이란 이름을 붙여주고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규제를 풀어줬다며, 저축은행 비리가 전 정권의 보호 속에 이뤄졌다는 점을 집중 파헤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원내대표 경선에서 패배한 친이명박계는 ‘저축은행 특검’ 등 정면 승부를 통해 정국 주도권을 되찾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이재오 특임장관은 이날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경밀레니엄포럼 특강에서 “저축은행 사건이 이뤄지고 부패가 저질러지는 과정은 지난 정부와 밀접하므로 지난 정부 관계자들의 법적, 도의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또 부실을 알고도 방치한 현 정권 관련자가 있다면 그대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내각은 운명을 걸고 저축은행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제원 의원 등 친이계 의원 16명도 저축은행 비리 사태 진상규명을 위한 특검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반면 민주당은 청와대를 비롯한 현 정권 핵심부가 저축은행 부실을 키우고 퇴출 저지에 나섰다는 점을 입증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손학규 대표는 최고위원 회의에서 “저축은행 사태는 특권·반칙의 대표적 사례이자 서민의 피눈물을 흘리게 하는 권력비리”라며 “여권이 야당에 뒤집어씌워 물타기하려는 시도를 결코 용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김황식 국무총리,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을 오는 23일부터 예정된 국정조사 증언대에 세우겠다는 계획이어서 증인 채택을 둘러싼 여야 간 힘겨루기도 예상된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