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차기 당대표 여론조사 ‘홍준표 1위’

입력 2011-06-01 05:07

황우여 원내대표(당 대표 권한대행)를 비롯한 한나라당 새 지도부의 ‘반값 등록금’ 정책 추진에 대해 국민 절반 이상이 지지하는 것으로 31일 나타났다. 또 다른 정책 이슈인 추가감세 철회에 대해서도 국민 10명 중 8명꼴로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일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정치현안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나라당 새 지도부가 대학생 등록금 부담 완화 정책으로 추진 중인 반값 등록금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2.0%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잘하는 일”이라고 답변했다. 반면 “재원대책이 없는 인기영합주의로 잘못하는 일”이라는 답변은 46.2%였다.

대기업 법인세와 고소득자의 소득세를 추가로 감세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해서는 찬성이 15.1%에 불과한 반면, 반대는 무려 83.8%로 조사됐다. 윤희웅 KSOI 수석전문위원은 “이는 곧 한나라당 새 지도부의 추가 감세 철회 주장에 83.8%가 찬성한다는 의미”라고 풀이했다.

한나라당은 30일 의원총회에서 감세 철회를 당론으로 할지를 놓고 토론을 벌였으나, 반대하는 의원들 목소리가 만만치 않자 여론조사를 해 본 뒤 다시 ‘감세 의총’을 개최키로 한 바 있다.

한나라당 7·4 전당대회에서 차기 당 대표로 누가 선출되는 게 적합한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홍준표 의원(18.8%)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나경원(10.5%) 김무성(6.1%) 남경필(6.0%) 유승민(3.5%) 권영세(2.8%) 박진(1.8%) 의원 순으로 지지했다.

7·4 전당대회의 핵심 쟁점인 대권·당권 분리(대통령 선거에 나설 후보들은 대선 1년 6개월 전부터 당 대표 등 당직을 맡지 못한다는 규정) 문제와 관련해 여론은 현행 규정대로 분리하는 방안을 주로 찬성(60.6%)했다. 반대(28.6%) 의견은 그 보다 훨씬 적었다.

민주당을 중심으로 야권에서는 내년 4월 총선 전에 단일정당을 만들어 반(反) 한나라당 전선을 구축하자는 ‘야권대통합론’이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다. 한나라당 후보와 야권단일후보가 나오면 야권단일후보를 찍겠다는 국민 비율이 높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적지 않다.

그러나 국민들은 후보단일화와는 별개로 단일정당까지 만드는 데는 대체로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각 당의 정체성 문제가 이유였다.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이 모두 통합해 단일정당을 만들자는 운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만들어야 한다”는 응답은 37.2%에 그쳤다. “정책과 노선이 다르므로 만들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55.8%로 월등히 많았다.

총선 전에 야권이 단일정당을 만들 수 있다고 보느냐는 물음에 대해서는 더욱 부정적이었다. 가능할 것이라는 응답은 21.8%, 불가능할 것이라는 응답은 72.3%로 나왔다.

역대 대통령이 서로 다른 당 후보로 대선에 다시 출마해 경쟁한다고 가정할 경우 누구를 지지하겠느냐는 설문에는 박정희(41.8%) 노무현(32.0%) 김대중(10.4%) 전두환( 4.9%) 이승만(1.6%) 김영삼(1.5%) 노태우(1.2%) 전 대통령 순으로 나왔다.

이 전 대통령의 경우 보수층 일각에서 ‘국부(國父)’로 집중 조명하고 있으나 일반 여론의 지지는 매우 낮게 나왔다는 점이 눈에 띈다.

이번 조사는 면접원이 직접 전화를 거는 1대1 전화면접 방식에 의해 지난 28∼29일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5% 포인트다. 김호경 기자 hkkim@kmib.co.kr